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정
정점
꼭대기
최고조
최상
극도
관문
d라이브러리
"
정상
"(으)로 총 3,191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통해 두 개의 뇌가 서로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 한 예로 위장 장애 환자들은 비
정상
적인 렘수면을 갖는다. 이는 '소화 불량에 걸리면 악몽을 꾼다' 는 속설과도 일치한다.윈게이트박사는 "진화의 시각에서 볼 때 신체가 두개의 뇌를 갖는 것이 타당하다" 고 말한다. 동물들은 먹이를 많이 찾고 ... ...
체르노빌 10년, 고통받는아이들 신종에이즈 발병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받았고, 사고처리를 담당한 80만명의 노동자와 군인들은 질병 발생률과 사망률이 비
정상
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고 밝혔다.특히 "벨로루시에서는 갑상선암 발생이 체르노빌 사고 전보다 무려 2백85배나 늘어났으며, 사고 전 비옥했던 농토와 산림 지역이 앞으로 수세대 동안 살 수 없거나 이용할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또 그들을 소외된 존재로 전락시키는 결과를 낳은 것이다.,SF 작가와 감독들은 비
정상
적인 지배도구로서 20세기의 '자본'이 누려왔던 역할을 21세기에는 '과학기술' 이 물려받지 않을까 걱정하고 있다. 과학과 기술의 진보가 사람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할 것이라는 믿음은 매력적이기는 하지만, ... ...
"자판기 동전 분리기는 내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동전에 따라 금속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자력의 영향이 달라 떨어지는 속도가 다르다.
정상
적인 동전은 곧 바로 수납기로 떨어진다. 그러나 지나치게 무겁거나 자력의 영향을 적게 받은 동전들은 전향기에 걸려 분리기로 가게 된다(②).고전적인 연구 에디슨이라 이름을 들을 때 무엇이 가장 ... ...
신경세포간 대화부족 해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병에 걸렸을 때 우리는 우울해진다. 그러나 이것은 정신병이 아니다. 누구나 경험하는 '
정상
적'인 것이고 자연스럽게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우울증은 일시적인 우울감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심한 슬픔과 좌절 절망 염세적 사고에서 유래한다. 우울증에 걸린 사람은 기억력 감퇴 죄악감 불안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나타낼 수 있다.특히 항암제와 같이 독성이 강한 약물은 암세포에 대한 특이성이 없어
정상
세포까지 파괴하므로 가능한 한 암세포에만 약물이 도달하게 하는 것이 DDS(약물송달시스템)의 가장 큰 목적이다.DDS는 매우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는데, 콜로이드를 이용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진화상 퇴화과정에 있는 부분이므로 성인의 약 3분의 1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사랑니가
정상
적으로 똑바로 나면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치아가 날 자리가 부족해 바로 앞의 치아를 밀면서 나거나 비뚤게 나는 수가 많다. 또한 일단 자란 사랑니는 치열의 맨 끝에 위치해서 잘 닦이지 않아 입냄새의 ... ...
연구 1년만에 발견, 그리고 1년 후에 노벨상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만일 랑게르한스섬에 문제가 있어 인슐린이 제대로 분비되지 못한다면, 세포는
정상
적으로 포도당을 섭취하지 못한다. 흡수되지 못한 포도당은 혈중에 남아 혈당농도를 높이고 우리 몸은 삼투압 유지를 위해 물을 많이 먹게 된다. 콩팥은 과량의 포도당을 제대로 걸러내지 못해 과량의 포도당이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혹시 차가 잘못됐나' 하고 몇번 애프터서비스를 받으러 공장에도 가보았지만 매번
정상
이라는 답변만 들었을 뿐이었다.그러던 차에 결국 일이 터지고 말았다. 지난 1월 14일 모처럼 가족들과 함께 자신의 차로 부모님을 뵈러 경기도 안중으로 가다 그만 사고를 낸 것이다. 커브길에서 분명히 핸들을 ... ...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의 뇌를 잘라내 조직표본을 만들어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했다. 그러나 현미경으로는
정상
인의 뇌와 어떠한 구조적인 차이점도 발견할 수 없었다. 현재로서는 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구조적인 차이점은 없지만 시냅스회로의 기능적인 차이는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고도의 사고기능을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