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d라이브러리
"
차이
"(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 Math] 신비의 수 142857의 비밀을 찾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있다. 그런데 항상 999가 되는 것은 아니다. 예외적으로 1998이 되는 경우가 있다. 왜 이런
차이
가 나타나는 것일까? 77과 966을 곱한 값을 자세히 보면 9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42857에 7을 곱하면 999999가 됐던 것을 떠올려 보자. 그렇다. 77과 966 모두 7의 배수다. 7의 배수를 곱할 경우에는 999의 . ...
컴퓨터 시스템 설계학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기기 한 대의 작은 가격
차이
가, 대량 판매시 엄청난 금액의
차이
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가격, 성능 등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컴퓨터 시스템 설계자를 원한다 ... ...
Part 2. 건강기능식품 돈 값 못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말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과 유사 건강기능식품의
차이
를 모르는 사람이 전체 응답자의 73.1%나 됐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유사 건강기능식품을 먹어 문제가 일어나는 것이다.부작용을 피하는 길은 쉽다. 제품에 ‘건강기능식품’이라는 ... ...
KTX와 중국 허셰, 누가 더 좋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평상시 속도보다 ‘약간’ 과속해도 큰 문제가 없다.물론 철도 구간마다 기술적인
차이
가 있고, 고속철도는 고속철도에 적합한 설계가 뒤따른다(과학동아 2009년 6월호 참조). 고속철도와 1~4급선을 나누는 결정적인 기준은 무엇보다 선로의 ‘최소곡선반경’과 ‘최대기울기값’이다. 얼마나 휘어 ... ...
팔은 발보다 빠르다! 휠체어 육상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단순한 동작에도 모든 기관과 감각을 사용하기에 허리의 사용 여부에 따라 운동능력
차이
가 크다”고 말했다. 휠체어 육상 T-54 국가대표인 김규대 선수는 “휠체어를 움직일 때 허리를 들었다 내리며 밀면 더 빠르게 가속할 수 있다”고 말했다.T-52 선수였던 문영수 장애인육상연맹 사무국장은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카메라 고수의 숫자 완전정복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얻는 셈이다.4608×3456=15925248같은 장면을 찍을 때 화소 수가 많은 카메라는 더 세밀한
차이
를 잡아낼 수 있다. 그물과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강에서 그물 낚시를 하는데, 그물코의 가로세로 길이가 1cm인 그물과 5cm인 그물이 있다고 하자. 어느 그물에 더 많은 물고기가 걸려들까? 볼 것도 없이 그물 한 ... ...
[수학영재캠프]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관련 지식의 학습이 대부분 사교육에 맡겨진 상황이라서 지역에 따른 교육 기회의
차이
가 심각합니다. 수학올림피아드 입상자의 9할이 수도권 학생들이고, 그중에서도 특히 강남구의 해당 지역 인구에 비례한 입상률은 전국 평균의 9배 정도입니다. 정부든 올림피아드 관련기관이든 누군가는 ... ...
북극 빙산으로 아프리카 갈증 푼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것이 가장 효율적이었다. 배를 3~4척으로 늘려도 운반 기간이나 효율 면에서는 큰
차이
가 없었다.무쟁 씨는 “배는 빙산이 움직이는 방향을 조정만 할 뿐”이라며 “해류의 힘을 이용해 빙산을 옮긴다”고 강조했다. 이는 바닷물을 ‘컨베이어 벨트’처럼 이용한다는 얘기다. 때로는 바람도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하고 있어 흔히 카메라와 눈을 비교하기도 한다. 카메라는 사람과 달리 눈이 하나라는
차이
점이 있기는 하지만 사람의 눈을 기계적으로 모방한 것이 카메라다.사람이 두 눈으로 상을 맺는 것은 다른 영장류와 포유동물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으로, 거리와 깊이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빛은 투명한 ... ...
고양이가 혀로 물 마시는 건, “볼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개과의 맹수류는 안타깝게도 우리처럼 입을 대고 물을 마실 수가 없다. 숨을 들이켜 압력
차이
로 물을 빨아 당기려면 입이 벌어진 부분이 온전히 물속에 잠겨야 하는데 맹수류는 입이 주둥이 양쪽 뒤까지 찢어져 있기 때문에(그래야 먹이를 물 때 턱을 많이 벌릴 수 있다) 양옆으로 틈이 생긴다.이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