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연구팀이 광자의 양자정보를 1m 떨어진 곳에 전송한 뒤, 똑같은 광자를 만들어내는 데
최초
로 성공하긴 했지만 인간에게는, 그리고 테란에게는 아직까지 요원한 기술이다.언젠가는 프로토스가 타임머신도 만들어낼 것이다. 프로토스는 이미 연결체(Nexus)라는 건물에서 시간 증폭 기술을 사용해 ... ...
반도체 소자를 이해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박사과정 때 작성한 논문은 발진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잡음 특성을 컴퓨터로 예측한
최초
의 논문으로 평가받으며, 오랜 연구과정을 보람있게 만들었다.이와 함께 연구실에서는 새로운 형태를 가진 메모리 소자 구조를 제안하거나 소형화된 반도체 소자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양자 효과를 어떻게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것이다. 이로써 원자 수준에서 리보솜의 구조와 기능을 밝혀낼 수 있었다. 요나트 박사가
최초
의 리보솜 결정을 만든 지 20년 만이었다.리보솜 연구와 관련해 약 180편의 논문을 발표한 요나트 박사는 2000년과 2001년에 ‘셀’, ‘네이처’에 잇따라 게재한 논문을 가장 중요한 성과로 꼽았다. 이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너비가 빛의 파장의 10분이 1 수준으로 가늘어야 한다.예를 들어 스미스 교수팀의
최초
투명망토의 경우 파장이 약 3cm인 마이크로파에서 투명하게 보이려면 금속물질의 너비가 3mm 정도로 가늘어야 했다. 물질이 이 정도로 빛의 파장보다 짧아야 빛과 상호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그렇다면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Metal-Oxide-Semicon 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을 세계
최초
로 발명한 인물이다.“반도체에 대한 연구가 이제 막 시작되던 시기였어요. 당시 벨연구소에 있던 강대원 박사가 p형 반도체에 새로운 방식으로 전압을 가해주는 기술을 만들었습니다. 그것이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벗어나면 없는 것이 곧 있는 것으로 새롭게 다가온다.와~! 대단해.‘선가귀감’은
최초
로 문헌에 숫자 0이 등장한 책이야. 스님은 수학을 좋아하셔서 평소에도 서산대사님의 ‘선가귀감’을 자주 읽으셨지. 어쩌면 인도에서 숫자 0을 쓰기 훨씬 전에 부처님은 0을 깨달으셨던 것 같아. 숫자 0은 없지만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광결정에 빛을 발생시키고 증폭시키는 실험에 성공해 1μm의 ‘초미니 레이저’를 세계
최초
로 만들었다.그런데 최근 공명기의 크기가 레이저광의 파장보다 작아질 수 없다는 고전적 진리(?)가 깨졌다. 스위스 연방공과대 연구팀이 길이가 30μm, 높이가 8μm인 마이크로 크기의 레이저(공명기)에서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현재 처치 교수는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의 크레이그 벤터 소장과 함께 누가 먼저
최초
의 ‘인공 생명체’를 만들어내느냐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인공 생명체로 가는 길목물론 수년 전 벤터 박사팀이 바이러스 게놈을 실험실에서 합성해 감염성이 있다는 것까지 확인했지만 바이러스는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파된 뒤, 무역이 활발했던 일본을 거쳐 한국에 들어왔다.이 근거로 이 교수는 한국
최초
의 본격적인 백과사전인 이수광의 ‘지봉유설’(1613)의 한 대목을 “일본에서 건너온 왜(倭)개자에는 독이 있다”고 해석하며 왜개자가 고추라고 설명했다. 고추의 매운맛에 약한 일본인들이 조선인들을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방울이 퍼져 나가는 것 같은 확산현상을 이용한 MRI 기법인 DTI(Diffusion Tensor MRI)를 세계
최초
로 개발한 프랑스 뇌과학연구소 뉴로스핀의 데니스 레비안 교수는 뇌를 정보의 읽기와 쓰기가 자유로운 메모리에 비유했다. 신경세포는 매순간 정보가 바뀌고 바뀐 정보가 신경세포 사이를 흐르면서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