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진행"(으)로 총 2,43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글 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흔적만 남은 거지. 이걸 ‘흔적기관’이라고 해. 뱀의 뒷다리, 장님동굴물고기의 눈도 흔적기관이란다. [소제시작]지금도 진화는 진행 중! [소제끝] 진화섬 여행을 마치면서 퀴즈를 하나 내지. 침팬지가 사람과 똑같이 될 수 있을까? 진화론이 맞다면 침팬지를 사람 같은 환경에 두면 사람이 돼야 하지 않을까? 하지만 정답은 ‘될 수 없다’야. 이미 사 ...
- 소금 법정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 2008년 10월 15일, 한 사건으로 온 세상이 떠들썩해졌다. 그 동안 나라 곳곳에서 소금을 줄이는 ‘싱겁게 먹기’ 운동과 캠페인이 진행되어 왔고, 이에 따라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소금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 움직임을 눈여겨보던 한 새내기 검사가 소금과의 전쟁을 전면적으로 선포하고 나섰다. 이 검사는 사람의 건강을 해치기 ...
- 사람과 사람이 가까운 세상을 꿈꾸며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깊었던 과학책이나 과학자가 있는지 여쭤 보았어요. “솔직히 어린 시절에는 딱딱한 과학을 좋아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프로그램을 진행하다가 카이스트의 정재승 교수님이 쓰신 ‘과학콘서트’라는 책을 읽었는데 참 재미있었어요. 이렇게 재미있게 풀어 쓰면 많은 사람들이 과학을 친근하게 느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사람들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어야 ...
- 유럽우주기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모두 모여 에스텍에서 기획한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심사한다. 그 결과 채택된 50여 개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이 지금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에스텍에는 회의실과 시험동이 잘 갖춰져 있었는데, 달에 부딪혀 운명을 다한 스마트-1에 쓰인 이온추진기도 볼 수 있었다(왼쪽). 그리고 하나 더! 별처럼 반짝이는 복도와 예쁜 무지개 천장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
- 으악! 내가 주워 온 아이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화학물질이나 돼지 등의 동물 피에서 뽑아 낸 헤모글로빈을 이용해 피 속의 적혈구를 대체하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어요. 최근에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적혈구를 만들어 내는 연구가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요.” 하지만 당돌한 군은 여전히 서운한 눈치다. “하지만 인공혈액이 널리 쓰이기까지는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요. 그 때까지는 ...
- 파리 잡기는 어려워~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태양광발전소[소제끝] 에너지 문제로 골머리를 안고 있는 요즘, 반갑고도 놀라운 소식입니다. 태양광발전소를 우주에 세우는 계획이 진행 중이라는군요. 왜 굳이 우주에 태양광발전소를 세우려는 걸까요? 앞으로 세워질 태양광발전소를 시간여행으로 미리 만나 보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주 태양광발전소 맞으시죠? 그런데 얼핏 보면 무슨 위성 같아 보이네요. ...
- 나사 50주년 기념, 최고의 명장면 50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포기하지 않고 우주를 향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어. 지금은 2020년까지 인간을 다시 달로 보내고 달을 기지삼아 화성을 탐사할 계획을 진행 중이란다.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나사를 빛낸 우주인과 과학자들을 만나 보면서 우주에 대한 꿈을 키워 보렴! {BIMG_c14} {BIMG_l15}발사를 기다리는 앨런 쉐퍼드 1961년 5월 5일 프리덤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완성된 거네요? 지도나 내비게이션도 필요 없고 운전사도 없어지겠어요! A 아니에요. 일반인이 안심하고 이용하려면 연구가 훨씬 더 진행돼야 해요. 사람이 타는 기계인데 무조건 기계의 운전 실력만 믿고 잠을 잘 수는 없지요. 차라리 사람의 운전을 보조하는 똑똑한 운전 장치로 보는 것이 좋을 거예요. 앞, 뒤 차량과 충돌하지 않도록 지켜봐 주고 운전 ...
- 찬 바닷물로 적조 뚝!어린이과학동아 l20080829
- 뇌를 이용해 움직이는 로봇이 있다면 어떨까요? 실제로 영국 레딩대학교의 케빈 워윅 교수팀이 쥐의 뉴런과 로봇을 연결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요. 약 30만 개나 되는 쥐의 뉴런과 로봇을 연결하는 것으로, 로봇이 장애물을 감지하면 이 정보가 뉴런에 전달되어 어떻게 움직이라는 신호를 내려보내는 거예요. 뉴런을 포함한 쥐의 뇌 신경체는 특수한 ...
- 놀랄 때 눈 동그랗게 뜨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0714
- 어느 누구도 왜, 얼마나 다른지는 알지 못한답니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킬로그램의 기준을 다시 정하는 ‘아보가드로 프로젝트’를 진행해 왔어요. 그 중에는 실리콘 원자의 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를 위해 호주 정밀광학센터에서는 순수한 실리콘으로 이뤄진 구를 만들었어요. 이 구는 표면의 거칠기가 0.3㎚ 이하로, 현재까지는 세상에서 가장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