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뉴스
"
변이
"(으)로 총 2,455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현상이고 대부분은 기능이 있는 유전자에서 기능이 없는 유사유전자(pseudogene)으로 가는
변이
인 경우다. 실제로 사람에서 FNDC5가 발현해 전령RNA가 만들어져도 이를 주형으로 만들어진 단백질의 양은 미미한 것으로 밝혀졌다(리보솜이 개시 코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참고로 2012년 논문은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생쥐로 이들은 염증성 장질환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찰 결과 원래 장이 약한
변이
쥐들은 유화제에 더 민감하게 반응해 80% 이상에서 장염 증상이 나타났다(대조군은 40% 대). 체중이 증가하고 포도당 대사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필자는 유화제가 직접 점막에 영향을 ... ...
땅콩 알러지 원인 유전자 찾았다
2015.02.25
사실이 밝혀졌다. 이
변이
는 실험 대상자의 20%에게서 발견됐다. 하지만 이
변이
를 지닌 대상자가 모두 땅콩 알러지를 호소하진 않았다. 연구진은 임신 기간의 환경이나 영양 상태와 같은 후성유전학적 변화가 실제로 땅콩 알러지를 일으킬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관여할 것으로 예측했다. 왕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며 “우리가 처음으로 그 일을 했고 암 발생에서 복제
변이
의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자들은 “우리가 논문에서 ‘불운’이라는 말을 쓴 건 많은 암환자와 가족들이 병에 걸린 데 대해 통제할 수 없는 죄의식을 느끼고 있다는 ... ...
무시하기 쉬운 암 증상 10가지… 꼭 한번 체크해 봐야!
동아닷컴
l
2015.02.02
환자들의 18%는 배변 시기나 대변의 양, 크기의 변화를 경험했다. 변비가 오래 지속되거나
변이
가늘어졌는데도 음식이나 약물의 영향으로만 여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는 대장암의 전조 증상임을 명심해야 한다. 4. 소변 습관. 방광 이상, 요로 감염은 여성들에게서 많기 때문에 “이번에도 요로 ... ...
고릴라가 오랑우탄보다 ‘주당’인 이유
과학동아
l
2015.01.26
오랑우탄은 알코올 분해 효소인 ‘ADH4’에 돌연
변이
가 생기지 않았다. 때문에 체질적으로 다른 영장류에 비해 술에 약하다. - pixabay 제공 인간은 언제부터 술을 마 ... 땅에 떨어져 자연 발효된 열매를 먹게 됐고, 그 과정에서 에탄올을 분해할 수 있는
변이
가 선택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 ...
꼬리 치는 야생 여우, 있을까 없을까
2015.01.16
웨슬리 워런 미국 워싱턴대 교수는 “인간이 주는 먹이를 받아먹으며 생긴 유전적
변이
가 야생고양이를 길들이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있다. 대략 6000염기 크기로 전이에 필요한 유전자를 두 개 지니고 있다. 오랜 세월동안
변이
가 축적돼 대다수는 작동하지 못하는 화석이지만 100여개는 아직 전이성을 잃지 않은 상태다. 전이성 인자는 게놈의 안정성을 해치는 존재이기 때문에(유전자나 발현조절 부위에 끼어 들어가면 심각한 ... ...
전국 뒤 흔든 구제역은 ‘변종’, 백신 효과 없나
2015.01.11
접종한다면 어느 정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의미다. 한 국내 전문가는 “다소
변이
가 있겠지만 O타입 바이러스는 지금의 백신으로도 어느 정도 방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며 “백신접종을 더욱 강화하고 농장 소독을 철저히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밝혔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더듬이가 날 자리에 다리가 달린 안테나페디아(오른쪽 위)와 날개가 넷 달린
변이
체(오른쪽 아래). - 칼텍 제공 호메오유전자는 초파리(곤충)뿐 아니라 개구리(양서류), 쥐(포유류)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유럽에서는 사람을 대상으로 이런 연구를 할 수 없어 게링 교수는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