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뉴스
"
수상
"(으)로 총 3,577건 검색되었습니다.
혼조 교수“'당신 덕분에'들었을 때가 행복…내 연구 지금부터가 시작”
과학동아
l
2018.10.02
알게 된 것은 행복 그 이상이었다"고 말했다. 혼조 타스쿠 교토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하고 동료들과 기뻐하고 있다. 노벨위원회 트위터. 혼조 교수는 “생물학은 복잡한 체계이며 공학과는 전혀 다르다”며 “연구 초기에는 면역연구가 암 치료법을 이끌 거라고 전혀 생각하지 ... ...
23번째 노벨과학상
수상
…日 과학 위기론 수그러들까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진학을 포기하면서 위기론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혼조 교수는 노벨생리학상
수상
자 발표 뒤 진행된 언론과 인터뷰에서 연구자가 꾸준히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강조했다. 그는 “지속적으로 꾸준히 한 기초 연구가 새로운 암 면역치료에 응용돼 기쁘다”며 “많은 연구자가 좋은 환경에서 ... ...
“새로운 항암치료 시대 열렸다” 노벨상 발표현장 이모저모
과학동아
l
2018.10.01
이용해 환자 개개인에 맞게 맞춤치료를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보인다.” -
수상
자들의 소감을 듣고싶은데. “앨리슨 교수는 연결이 되지 않았다. 혼조 교수는 전화로 ‘매우 기쁘다’고 전해왔다.” ... ...
3세대 항암제 탄생 이끈 앨리슨·혼조 교수는 누구
2018.10.01
2018 노벨생리의학상, 美·日 과학자 공동
수상
면역세포 속이는 ‘면역관문 단백질’ 차단방법 개발 완치까지 가능한 독특한 항암치료법 첫 선 2018 노벨 ... 바라볼 수 있다는 점”이라며 “인류의 건강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에서 두 사람의 노벨상
수상
은 충분히 예상됐다”고 말했다. ... ...
면역기능의 브레이크를 풀다…항암치료 길 연 美日 과학자 노벨의학상
수상
(종합)
2018.10.01
이날 노벨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2일 물리학상, 3일 화학상, 5일 평화상, 8일 경제학상
수상
자를 차례로 발표한다. 시상식은 노벨상을 만든 알프레드 노벨 기일인 12월 10일 스웨덴 스톡홀름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열린다 ... ...
노벨생리의학상, 면역항암 치료 길 연 앨리슨·혼조 교수
수상
(3보)
2018.10.01
경제학상(8일) 등 노벨상
수상
자를 발표한다. 혼조 타스쿠 교토대 명예교수가 노벨상
수상
소식을 접하고 동료들과 기뻐하고 있다. 노벨위원회 트위터. ... ...
노벨생리의학상에 면역치료 전문가 제임스 앨리슨·혼조 다스쿠
수상
(2보)
2018.10.01
2018년 노벨생리의학상에 미국 ‘제임스 P 앨리슨’, 일본 혼조 타스쿠 교수가 선정됐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제임스 P 앨리슨 미국 앤더슨암센터 교수와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가 선정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대 노벨위원회는 1일 "앨리슨 교수와 혼조 교수가 면역학 연구를 통해 ... ...
[2018노벨상] 영화 속 주인공된 노벨상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약 11억 2400만 원)가 주어진다. 1963년 영화 ‘더 프라이즈’의 마지막 장면에선 노벨상
수상
이 이뤄지는 스웨덴이 과학자들에겐 꿈의 장소라는 점을 이렇게 묘사했다. 과학자 : “(잠에서 깨어난 뒤) 여기가 어디야? 천국?” 과학자의 딸 : “스톡홀름이에요.” 과학자: “천국이구나 ... ...
[2018노벨상] 노벨상 근접 한국 학자 13명…올해 노벨상 3대 관전 포인트는?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있어 실제 노벨상
수상
여부를 예측할 수는 없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하지만 노벨상
수상
자에 육박하는 좋은 성과를 낸 한국 출신 연구자가 두 손으로 꼽을 수 없을 정도로 많아졌다는 것은 반가운 일이다 ... ...
[2018노벨상]올해 노벨문학상은 없다…성추문·미투 운동에 위상 '흔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50~60년에 1명, 화학상은 30~50년에 1명으로 각각 2명과 4명밖에 나오지 않았다. 게다가
수상
자 대부분은 미국, 유럽 등 서구 국가들 출신이다. 키팅 교수는 올해 4월부터 동료 과학자들과 함께 최근 노벨상 개혁을 촉구하는 온라인 서명운동 ‘루징 더 노벨 프라이즈 포럼’(losingthenobelprize.org)을 ... ...
이전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