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시 생각함"(으)로 총 4,97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06
- 그리고 다음 방으로 넘어간 도마뱀이 또 숨겨진 네 마리의 달팽이를 전부 찾아먹으면 또 다시 네 마리의 달팽이가 숨겨져 있는 그 다음 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바위왕도마뱀은 필립스가 숨겨놓은 달팽이들을 전부 찾았다. 그리고 계속해서 그 다음 방으로 이동해 맛있는 달팽이들을 찾았다.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6
- 생물학 저널’에 투고했지만, 심사위원들로부터 글이 너무 장황하니 둘로 나누어서 다시 투고하라는 결정을 받았다. 심사위원 입맛대로 고치려면 또 긴세월이 걸릴 터였다.해밀턴은 그동안 헛수고를 하지 않았음을 빨리 입증하고 싶었다. 긴 논문의 요약본에 해당하는 글을 부랴부랴 써서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06
- 공감되는 건 그래서다. 마침 굴드가 27년 동안 연재한 글 31편을 엮은 ‘판다의 엄지’도 다시 번역돼 나왔다. 스티븐 제이 굴드라는, 20세기가 낳은 최고의 사상가의 지평을 한 권의 책에서 만나는 호사를 누릴 기회다. “좋은 아빠가 되고 싶다.”아내가 임신 소식을 전했을 때, 기자는 그런 생각을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06
- 분실된 조각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 세척이 끝나고 나면 필자는 항상 부러진 뼈를 다시 맞춰보곤 했다. 자연스레 ‘뼈가 왜 이런 형태로 부서졌을까’라는 호기심이 들었다. 어떤 상황에서 뼈가 어떻게 손상되는지 파악하는 연습을 숱하게 반복하고 있다는 사실을 그때는 깨닫지 못했다.부러져야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06
- 실제로 알파고의 등장은 인간의 정신까지도 기계적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 다시 말해, 인간과 인간의 피조물인 기계사이에 단절된 경계는 없으며, 인간 정신을 설명하는 ... 수 없는 인간적 특성을 나열함으로써 인간과 기계가 근본적으로 구분되는 존재라는 걸 또다시 주장해야 할까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알을 모두 소진하고 사흘 안에 죽는다. 혈액 안에서 부화한 유충은 다시 호흡기를 통해 밖으로 나간다.추억충의 가장 독특한 특징은 이전 ... 드디어 식탁 위까지 올라온 민트 때문에 와플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다시 나왔고 드디어 화연이 마련한 새 아파트 이야기도 나왔고 독서 ... 지나갔다.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06
- 공간을 마련해야 합니다. 대신 연구자는 실험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소개해야 합니다.다시 해도 똑같은 연구는 11%뿐대체 재현성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기에 이렇게까지 하는 걸까요? 2012년 미국의 생명과학자 글렌 베글리가 에 쓴 글을 보면 깜짝 놀랄 수밖에 없습니다. 지난 10년간 발표된 암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06
- 좌표가 펼쳐져 있어요.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캐릭터는 일정한 속도로 뛰어올랐다가 다시 일정한 속도로 떨어졌어요. 이런 방식으로 스키 게임을 한다면 하나도 재미가 없겠죠? 전혀 실감 나지 않을 테니까요.최근 게임은 실제처럼 중력과 가속, 관성, 마찰력, 충격량, 탄성에너지, 공기 저항 등을 ...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6
- 알아냈다. 하지만 통증을 완화시키는 마약성 진통제인 모르핀을 주사하자 무지개송어는 다시 새로운 물체를 경계하기 시작했다.어류도 고통을 느낀다는 주장이 조금 더 우세한 편이지만 반대편 주장도 만만치 않다. 어류가 사람처럼 통증을 느끼기에는 신경섬유 밀도가 너무 낮다는 것이다. 사람의 ...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과학동아 l201606
- 씌워 있지 않은 자유신경말단(free nerve ending)이죠. 그런데 최근 들어 이 자유신경말단이 다시 가려움 신경과 통각 신경으로 구분된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시작했습니다. 오우택 ... 발표한 것입니다. 간지럼을 통각으로만 느끼는 것은 아니었던 겁니다. 간지럼의 원인은 다시 혼란에 빠지게 됐습니다.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