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
광선
색깔
빛깔
희망
서광
광명
d라이브러리
"
라이트
"(으)로 총 376건 검색되었습니다.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04
나간 빛은 포물선에 반사돼 축에 평행하게 나간다. 이를 이용한 것이 자동차의 헤드
라이트
다.외계에서 직진해온 빛을 모으려면 이러한 포물선의 성질을 이용해야 한다. 접시를 포물선 모양으로 만들면 포물선의 초점 위치에서 빛을 모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빛을 많이 모으려면 접시의 크기가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01
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가장 극적인 탐사선은 아마도 비행기가 될 것이다. 인류는
라이트
형제의 비행기에 의해 하늘을 난지 겨우 1백년도 되지 않았는데 화성의 대기에 비행기를 날리려고 시도한다. 현재 연구중인 비행기는 인간의 도움 없이 자율적으로 날 수 있는 것이다. 비행기가 화성의 ... ...
인간 유전병 규명 도움주는 개 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112
게놈은 우리에게 친숙한 단어가 됐다. 그런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화려한 스포트
라이트
를 받는 동안에도 쉬지 않고 진행된 게놈 연구들이 있다.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의미있는 연구들로, 이 중 하나가 개 게놈프로젝트다.왜 개의 게놈을 연구하는 것일까. 다시 말해 개 게놈은 우리에게 무엇을 ... ...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10
쉽지만, 카페트 속에 들어 있는 잔모래 등은 청소하기 어렵다.미국이나 영국에 많은 업
라이트
형은 카페트가 깔린 넓은 공간을 청소하기 쉽다. 솔이 회전하면서 카페트 깊숙이 박혀 있는 먼지를 밖으로 나오게 한 뒤 청소기가 먼지를 먹어치운다. 캐니스터형에 비해 먼지를 2배나 더 많이 저장할 수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09
조금 비위가 상한다. 소변을 가열하면서 관찰하다가 암모니아를 발견한 것이다.1903년
라이트
형제가 최초의 비행을 성공하기 무려 8백년 전에 비행을 꿈꾸던 선구자가 있었으니, 그는 11세기 영국 윌트셔 대수도원의 수도사였던 에일머다. 에일머는 하늘을 날기 위해 새의 깃털로 된 날개를 만들었다. ... ...
1. 1백만달러 현상금 걸린 유체방정식
과학동아
l
200107
만들어 달에도 갔다왔다. 그리고 음속보다 더 빠른 비행기도 등장했다.초기에는
라이트
형제처럼 단순히 기계의 개발에서 여러 차례의 시행착오를 통한 경험적인 방법으로 발전이 이뤄졌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단순한 공학적인 방법만으로는 개발이 어렵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수학의 역할이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06
박막을 입힐 수 있다.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유리 면에 증착시키면 거울이나 자동차 헤드
라이트
의 반사경이 된다. 또한 티타늄과 질소를 적당히 조절해 증착시키면 단단하면서도 아름다운 금빛 도금을 할 수 있다. 이 기술은 고급시계, 안경테, 기타 장식품에 현재 많이 쓰이고 있다.이뿐 아니라 생활 ... ...
'당신은 창의적인가' 진단기준 4가지
과학동아
l
200105
것이다. 아니면 껌종이나 알루미늄 포일도 좋다. 은박지나 포일을 이용해서 끊긴 헤드
라이트
전선을 이을 수 있다.이처럼 용도는 다르지만 비슷한 기능을 갖는 것을 찾아내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도 창의성에서는 중요한 요소다. 이 능력을‘융통성’이라고 부른다. 다시 말해서 융통성은 서로 ... ...
야심찬 화성 식민지화 프로젝트 - 레드 플래닛
과학동아
l
200105
수 있다고 설정한 2050년 쯤에는 과학기술이 엄청나게 발전하지 않겠습니까. 1903년에
라이트
형제가 처음 비행기를 발명했는데, 불과 1백년도 안돼서 펄펄 날고 있잖아요. 발전 속도는 내일을 예견할 수 없을 정도로 기하급수적입니다. 제 생각에는 2050년에는 다 실현될 것 같은데요.성환_ 영화에서도 2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04
건설해 ‘호프’라는 일본 우주왕복선의 발사 및 착륙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1903년
라이트
형제가 대머리독수리를 관찰하며 탄생시킨 비행기는 방위산업을 거치면서 개발과 제작의 신뢰성이 급속히 향상됐다. 상상 속에서나 가능했던 항공비행은 그동안의 기술개발과 안전성 향상으로 이제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