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름
호칭
성명
고유명
표제
직함
명성
d라이브러리
"
명칭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09
위치한 것이 869로 좀더 별이 밀집돼 있다. NGC는 19세기말에 작성된 성운성단은하 목록의
명칭
이다. 여기엔 약 7천8백개 은하가 수록돼 있어 평생을 봐도 다 보기 어렵다.천체사진에서 확인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은 12등급까지만 세어본다면 869가 4백개, 884가 3백개에 이를 만큼 별이 대단히 많다. 1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08
이름에 그대로 묻어나게 한 것이다.한국형 모델 찾기에 주력 시민참여연구센터는
명칭
외에도 외국의 과학상점과 차별되는 점이 있다. ‘한국형’ 과학상점이라는 것. “시민참여연구센터는 한국의 정치사회적 풍토에 맞춰 네덜란드식도 미국식도 아닌 한국식 모델을 찾아나갈 예정입니다. 양쪽의 ... ...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08
‘작은 귀신’ 은 지구에서 뱀주인자리 방향으로 2천광년 이상 떨어진 성운으로, 정식
명칭
은 NGC6369다. NGC6369가 귀신처럼 보이는 이유가 혹시 뱀주인자리에 전해오는 이야기 때문은 아닐까.뱀주인자리는 뱀을 붙잡고 있는 거인의 모습이지만, 주인공은 사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의술의 신 ... ...
나도선 교수, 여성생명과학진흥상 수상
과학동아
l
200407
한국로레알은 여성생명과학기술포럼,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함께 제정한 ‘2004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생명과학진흥상’의 본상 수상자로 나도선 울산대 의대 교수를 선정 ... ‘로레알 여성생명과학상’ 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협력기관으로 참여하면서
명칭
을 변경한 것이다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07
조금만 가해져도 수레가 관성의 법칙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데서 이
명칭
이 생겼다 입자(粒子)의 관성력과 유체의 점성저항의 비를 나타내는 무차원수(無次元數)로서 입자의 운동방정식을 무차원화 했을 때의 계수 관성 파라미터 P 또는 ψ는 스토크스의 식(式)이 성립되는 ... ...
3차원 마이크로 영상 시대를 여는 레이저형광현미경
과학동아
l
200406
이들에게 우선 레이저형광현미경의 원리를 설명했다. “레이저형광현미경의 정식
명칭
은 공초점레이저형광현미경입니다. 쉽게 말하면 광학현미경과 형광현미경을 합쳐놓은 것인데 여기에 공초점 기능까지 첨가돼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죠.”이 연구원은 우선 광학현미경부터 차근차근 체험할 ... ...
세계 최대 여객기 에어버스 A380 생산 시작
과학동아
l
200406
구할 때, 천체역학에서 행성의 영년섭동(永年攝動)의 운동을 구할 때 등이다영년이란
명칭
은 이 마지막 예에서 유래한다 각 원소의 고유한 스펙트럼선 또는 그 일부에 의해 구성되는 X선 특성 X선이라고도 한다 물질에 전자선 등을 투사하여 원자의 내각전자(內殼電子) 하나가 방출된 자리에 그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06
그런 활동을 전문적으로 하는 소중한 존재죠.” 하지만 과학저술가는 아직 낯선
명칭
이고, 과학저술가로서의 활동은 학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게 현실이다.그래서 김 박사는 과학기술과 사회에 대한 관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참여연대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06
마치 열쇠구멍으로 들여다보듯 2백-3백km 상공에서 아래를 살펴본다는 의미에서 이같은
명칭
이 붙었다고 한다. KH와 같은 정찰위성은 보통 자체 동력을 이용해 자주 궤도를 변경하기 때문에 수명이 짧은 편이다. 그 대신 촬영된 영상의 해상도는 10-15cm로 왠만한 물체를 식별해낼 수 있다고 한다.이는 ... ...
예술로 피어난 과학 식물세밀화
과학동아
l
200405
어렵다. 이렇다보니 많은 정보가 쌓여있어도 제대로 활용 못한다.“현재 통일된 식물
명칭
을 정해 싣는 ‘국가표준식물목록’ 을 만들고 있습니다. 40여명의 식물분류학자들이 참여하고 있죠.”뒤늦은 감이 있지만 우리나라도 식물세밀화 제작이나 표준식물목록 작성 등 식물학 연구에 기반이 되는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