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
상세
면밀
세심
명세
내역
내용
d라이브러리
"
세밀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11
떨어져 있는 사람이 손으로 느낀 촉감, 즉 어떤 물체가 원형인지 사각형인지까지의
세밀
한 감각을 다른 장소에서 동시에 느끼는 것이 가능하다.이 기술은 본래 시각 장애인들도 인터넷과 컴퓨터를 쉽게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됐다. 화면을 눈으로 볼 수 없는 시각 장애인들이 컴퓨터 앞에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09
작은 부분을 선택해 강력한 망원경으로 약 1만개의 은하를 찾아냈고 이 은하들의 밝기를
세밀
하게 측정해 개개의 은하에 포함된 별들의 수를 계산해냈다. 그 다음에 전체 밤하늘로 확장했고 관측 가능한 우주의 끝까지 고려했다. 그래서 나온 숫자가 7천억의 1천억배다.드라이버 박사는 현재망원경이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09
뛰어난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김 교수는“생체분자와 물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
세밀
한 과정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며“초저온 상태에서는 물과 생체분자가 단단하게 결합돼 있기 때문에 여기서 얻은 자료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09
방식으로 나노세계로 접근해가고 있다. 하나는 원래 큰 덩어리였던 것을 나노수준으로
세밀
하게 새기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단위가 되는 블록으로 쌓아서 만드는 방식이다. 전자는 위에서부터 아래로 쪼개나간다고 해서 ‘top-down’(하향식)이라고 하고, 후자는 아래에서부터 쌓아올리면서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09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객관적 검증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 구체적이고
세밀
한 검토가 필요하다.이와는 반대로 안개입자를 증발시켜 제거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액체상태의 물을 기체상태로 바꾸려면 가열을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증발을 통한 안개 제거에는 많은 양의 열이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09
이해하기 위해 1927년에 W 하이젠베르크가 유도한 원리 양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
하게 규정한 순수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후계자 그는 이것을 미분방정식을 ... ...
4 자외선으로 기록하고 가시광선으로 지운다
과학동아
l
200309
방식에서는 피트는 그 빛의 파장에 반비례한다. 즉 파장이 짧을수록 레이저빔은
세밀
한 펜이 되는 것과 같다.따라서 앞으로 DVD에서 정보밀도를 높이려면 파장이 짧아진 레이저빔에 반응하는 유기색소 물질이 필요하다. HDTV 정보를 저장할 목표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15-25GB급 차세대 DVD는 4백nm 파장의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08
확대 사진을 촬영한 다음, 그 이미지를 소프트웨어에서 합성하는 방법을 이용해 보다
세밀
한 부분을 찍어내는 것이다.올해 2003년의 화성 대접근은 이런 방식이 적용되는 첫번째 대접근인 만큼,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다양한 데이터들이 아마추어들의 손에서 쏟아져 나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전파를 내는 천체, 별이 탄생하는 영역, 강력한 물질을 방출하는 외부은하핵 등을 아주
세밀
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리고 천체의 정확한 위치로부터 한반도의 지각운동, 울산 부근 단층대나 제주도의 움직임 등을 mm 단위까지 처음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정밀도는 인공위성을 이용한 GPS 시스템보다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05
‘개체발생은 계통발생을 반복한다’는 내용이다. 다시 말하면 개체발생과정을
세밀
하게 관찰하는 방법이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계통과 진화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다는 사고에 바탕을 두고 있다.실제 발생 초기의 태아를 비교하면 포유류뿐만 아니라 양서류, 어류 등 거의 모든 동물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