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3,42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
과학동아
l
201610
어린 아이나 선천적인 시각장애인도 웃음을 짓거나 슬픈 표정을 짓고 운다. 이런 표정은
유전
적으로 뇌에 각인돼 있는 것으로, 피질하부의 신경회로를 통해 신호가 전달되면서 근육이 무의식적이고 불수의적으로 움직인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당황하거나 민망할 때 짓는 표정은 사람이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610
당신 조상들이 구축해 둔 게놈 자료 등을 최대한 이용했지만, ‘인간처럼’ 생각하는
유전
자와 시냅스를 단숨에 만들 수 없었어요. 그래서 시뮬레이션을 돌렸죠. 소중한 생명을 만들고 실험에 낭비할 수는 없잖아요. 그 결과 불연속성을 느끼지 못할 만큼 ‘인간적인’ 후손을 만들면… 결국은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
과학동아
l
201609
만들어진 60세 프랑스 여성의 뇌를 기준으로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환경이나
유전
적인 차이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쓰이는 뇌 모형이 서양인에게 맞춰져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연구진이 한국 노인에게 맞춘 뇌 모형을 개발했다. 김기웅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뇌 ... ...
[과학뉴스] 도핑
과학동아
l
201609
얼마 전 막을 내린 브라질 리우올림픽은 대회 기간 내내 ‘도핑’ 논란으로 시끄러웠습니다. 러시아 육상 대표팀이 집단 도핑 의혹으로 출전을 금지 당 ... 특정 근육만 도핑하는 식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미래에는 도핑 여부를 적발하기 위해
유전
자 검사까지 해야할지도 모르겠습니다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09
못하다. 심 교수는 “더 나은 미세조류를 계속 탐색하고, 동시에 무기물과 결합시키거나
유전
공학을 이용해 슈퍼균주를 만들어 낼 예정”이라고 말했다.최고 속도 인공광합성, 꿈의 촉매를 찾아인공광합성은 최근 과학계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분야 중 하나다. 올해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09
방식으로 사용됨으로써 만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제 그는 그 과정을 손가락 형성
유전
자를 직접 편집해 증명했다. 우리 안에는, 정말 물고기가 있었다 ... ...
[과학뉴스] 동물이 옮긴다고? 사람한테 옮았다!
과학동아
l
201609
연구팀은 또한 사바나원숭이의 포도상구균에는 인간의 몸속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전
자가 결여돼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포도상구균이 인간에서 사바나원숭이로 옮겨갔다는 의미다.폴른 교수는 “야생 사바나원숭이가 종종 사람에게 먹이를 받아먹으면서 길들여지고 있다”며 “자연을 ... ...
[포커스 뉴스] DNA에 새겨진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비극
과학동아
l
201609
진단 방법과 치료법은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맞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연구는
유전
자 맞춤형 치료법 같은 현대의학의 혜택을 앞으로 그들도 누릴 수 있게 하는 단초를 마련했다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09
하지만 장내미생물을 ‘제2의 게놈’이라고 부르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전
자와 장내미생물을 종합하면 우리 몸의 생명활동에 대한 이해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질 것만은 사실이니까요.” 천 교수는 미생물의 특성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특히 장내미생물의 효과와 한계를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
과학동아
l
201609
현재와 미래를 집중 분석했다. ‘퓨처 클래스(Future Class)’에서도 중력파, 후성
유전
학, 화성 탐사 등 미래 기술이 우리 삶을 어떻게 바꿀지 살펴봤다.이날 행사는 김경진 한국뇌연구원 원장의 기조강연으로 첫 포문을 열었다. 김 원장은 “뇌의 자연지능을 이해하는 것이 인공지능 완성에 필수”라고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