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d라이브러리
"
전력
"(으)로 총 1,118건 검색되었습니다.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벌어진 거야!원자력 발전기 수소 폭발 과정❶ 지진에 이은 쓰나미로 원자력발전소에
전력
을 공급하는 발전 장치가 고장.❷ 발전기의 뜨거운 온도를 식혀 주는 냉각수를 공급하는 펌프 작동 중지.❸ 900~1000℃에 이르는 뜨거운 온도로 냉각수가 증발해 핵 연료봉(4호기의 경우 방사성 폐기물)이 공기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07
최적화된 전용 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계산량과 저장공간,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해 기존보다 효율성이 훨씬 뛰어난 암호 알고리즘을 선보일 계획이라는 설명이다.“암호 개발은 수학이론과 응용 능력 갖춰야 가능” “암호기술 연구는 수학적 ... ...
사자는 무엇을 보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7
수 없다.체르노빌 원전 사고, 로이터1986년 체르노빌에서 발생한 원전사고는 원자로에
전력
공급이 차단되었을 경우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전기를 끊고 실험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인재(人災)다. 사진에는 사건 당시 방사능에 피폭된 우크라이나 여성이, 2006년 갑상선 암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06
양의 전기를 만들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계산에 따르면 한 해에 5억 5200만kWh의
전력
을 만들 수 있다. 소양강 댐의 1.56배로 인구 20만 명 정도의 중소도시의 한 해 전기 사용량에 해당한다.마지막으로 발전기가 설치된 지하로 내려갔다. 발전기 자체는 이미 물에 잠겨 있어서 볼 수 없지만 발전기의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6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LED수위표도 개발했다. LED는
전력
소모가 적어 태양전지 패널로
전력
을 공급할 수도 있고, 물에 접촉했는지를 판단하는 단자가 있어 자동으로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홍수가 일어나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울 때 유량과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대규모입자영상속도계(LSPIV)의 ... ...
파마약 도전정신으로 플라스틱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106
플라스틱 태양전지는 훨씬 쉽게 만들 수 있어 가격이 싸다.“현재 실리콘 태양전지는
전력
1W당 제조비용이 3000원 정도로 화력발전이나 수력발전에 비해 3~10배 높습니다. 이에 비해 플라스틱 태양전지는 1W당 제조비용이 120원에 불과할 정도로 싸죠.”이 교수가 이끄는 유기광반도체 연구실은 ... ...
하이브리드 주행
전력
개발기
과학동아
l
201106
수행하며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얻었다. 그중 ‘GPS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 주행
전력
개발’이란 주제로 프로젝트를 수행한 적이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중요한 연비 향상 요인 중 하나는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이다. 간단히 말해 제동 시 나오는 운동 에너지를 회수해서 배터리를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05
아무 궤도나 돌도록 내버려 두는 경우도 많다. 연료는 떨어졌지만 태양광으로 충전되는
전력
시스템은 살아 있어서 아마추어 통신용 등으로 목적을 바꿔 사용되는 경우도 간혹 있다.하지만 수명이 다한 정지궤도 위성은 그냥 내버려두면 다른 위성에 큰 피해를 주게 된다. 보통 연료를 조금 남겨 ... ...
나만의 탐구방법을 개발하라
과학동아
l
201105
기준으로 했다. 그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사용
전력
= 40W * 5h = 200Wh필요 충전
전력
= 사용
전력
/ 충전시간 = 200Wh/8h = 25W12V 배터리 용량 = 200Wh/12V = 약 1.4Ah계산상 25W급이면 충분하나 해가 뜨는 시간과 지는 시간, 빛을 받는 정도에 따라 25W의 출력이 나오지 않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05
휘어지는 필름형태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텐트나 가방 등 일상용품에 붙여 소규모
전력
을 생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화학연 소자나노재료연구센터의 석상일 박사는 새로운 개념의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다. ‘나노구조 무기·유기이종접합형 태양전지’가 그것으로 무기 태양전지의 고효율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