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1,5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달리는 똑똑한 지하철수학동아 l201407
- 차례로 1, 2, 3, 0이라고 쓴다. 열차가 4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기 때문에 4분 지난 지점은 다시 0이 되기 때문이다. 만약 B가 A보다 환승역에 1분 늦게 도착한다면, A 노선과 B 노선의 환승역 구간에 들어간 원의 숫자가 1만큼 차이나도록 적는다.이처럼 지하철 운행 상황을 그래프로 나타낸 뒤, 환승역 원 ... ...
- PART 3. 서해에도 쓰나미가 온다과학동아 l201407
- 매우 큰 편이지만 먼 바다에서 파도가 70cm 출렁이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다. 지진 발생 지점에서 배를 타고 있었다면 주변의 다른 파도와 섞이면서 파도가 생겼는지, 지진이 발생했는지도 알 수 없다. 그러나 파고 70cm, 파장 200km에 달하는 파도가 중간에 에너지를 소진하지 못하고 육지로 도달하게 ... ...
- [Life & Tech] ‘날개 없는 선풍기’ 제임스 다이슨 창업자 인터뷰과학동아 l201407
- 하나가 바로 소음이었다. 엔지니어들은 날개 없는 선풍기에서 공기 소용돌이가 생기는 지점을 찾았다. 소음의 주 원인인 소용돌이를 줄이기 위해 통기구를 더 매끄럽게 만들었다. 한 가지 문제가 더 있었다. 공기를 흡입하는 ‘임펠러’에서 모기 날개 소리와 비슷한 1000Hz의 거슬리는 고음이 났던 ... ...
- ‘우주 트랜스포머’ 화성탐사선과학동아 l201407
- 꼼작 못하고 지내기도 했다. 하지만 그 동안에도 착실히 한 일이 있다. 우리는 착륙지점 1m 지하에서 대량의 얼음과 드라이아이스를 발견했다. 그래서 원자력 및 태양광 발전기로부터 나오는 20kW의 전기를 이용해 산소와 이륙선의 연료가 되는 액체 산소와 메탄을 생산했다. 하루에 각각 100kg과 50kg ... ...
- PART 1 - 과학기자가 예측한 브라질 월드컵과학동아 l201406
- 일어나는 역류(위 그림에서 흰 연기, 아래 그림에서 파란색)가 적다. 공기가 분리되는 지점(화살표)이 A보다 뒤에 있기 때문이다. 패널과 패널 사이의 ‘홈’이 분리점을 뒤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역류가 적은 B의 경우, 뒤에서 공을 잡아당기는 힘(항력)이 작아 공을 더 빠르고 멀리 날려보낼 수 있다 ... ...
- 별별 데이터 세상수학동아 l201405
- 코시미즈 교수 연구팀은 자동차 시트의 360개 위치에 센서를 설치했다. 그리고 각 지점의 압력을 측정해 운전자가 자리에 앉아 있을 때 신체의 윤곽, 자세,무게 분산 등을 수치화하고 분석한다. 이 기술은 자동차의 도난 방지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기술이 장착된 운전석에 ... ...
- 세월호 참사, 무게중심 흔들어버린 人災과학동아 l201405
- 나라 학자들도 주의 깊게 지켜보고 있는데…, 좀더 연구가 필요합니다.”실제 사고가 난 지점인 맹골수도는 울돌목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조류가 세다. 더구나 사고 당시 조류는 세월호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흐르고 있었다. 선체가 왼쪽으로 기우는 상황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세월호가 기울기 ... ...
- 수증기 내뿜는 ‘화난 소행성’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405
- 얼음이 녹으면서 우주로 수증기가 뿌려진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태양과 가장 가까운 지점을 지날 때 세레스가 우주로 뿜어내는 수증기의 양은 1초에 6kg이나 된답니다. 전문가들은 세레스에 있는 얼음이 모두 녹았다고 가정했을 때 물의 양은 지구에 있는 민물보다 많을 거라고도 추측하고 있어요. ... ...
- 중단된 마라톤 기록, 수학으로 되찾는다수학동아 l201405
- 참가자들이 마지막으로 지난 체크포인트(구간 기록을 구하기 위해 5km마다 지나는 지점) 통과 기록을 가지고 통계학적으로 완주 기록을 예측할 수 있다고 제안한 것이다.스미스 교수가 사용한 방법은 K 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이다. 이 방법은 구하고자 하는 값과 비슷한 기존 기록 중에서 유추를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05
- 문제는 두 이론이 서로 잘 맞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나마 현실에서는 두 이론이 충돌할 지점이 별로 없으니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일반상대성이론’대로 움직이던 물질이 갑자기 ‘양자역학’의 법칙대로 움직일 만큼 높은 압력을 받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눈치 빠른 독자라면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