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견
관여
개입
참관
관계
중재
방해
d라이브러리
"
간섭
"(으)로 총 6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만 한 전파망원경 뜬다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망원경의 구경이 커질수록 좋아진다.KVN은
간섭
계 중에서도 규모가 가장 큰 ‘초장거리
간섭
계’(VLBI)에 해당한다. 손 박사는 “VLBI에 속하는 미국의 VLBA와 일본의 VERA를 벤치마킹했다”고 설명했다.VLBA는 미국 본토, 하와이 마우나케아, 푸에르토리코 버진아일랜드에 흩어져 있는 구경 25m 전파망원경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X선의
간섭
에서의 코셀 효과, 즉 결정(結晶)내에 X선을 방출하는 근원이 있을 때 일어나는
간섭
효과를 발견하는 등 X선 분광학(分光學) 및 원자구조론에 공헌했다고분자 재료의 하나 합성수지를 발포시킨 발포재료는 단열재료·방음재료로서뿐만 아니라 발포하여 얻는 특성을 이용하여 ... ...
할리데이비슨의 3대 매력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공명현상으로 생기는 알루미늄 판의 진동이 실린더 점화 진동과 맞아떨어지면 보강
간섭
이 일어나 소음이 배로 높아진다. 엔진 내부 빈 공간을 볼트로 죄면 공명현상이 완화되고 엔진 부속품의 진동도 준다. Feel_러버 마운트로 디자인한 진동할리데이비슨 라이더들은 할리데이비슨의 매력으로 말 ... ...
CD 표면에 펼쳐진 아름다운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아주 작은 홈이 있어요. 이 홈에 정보가 기록되어 있지요. 빛이 이 홈에서 반사될 때에도
간섭
이 일어나요. 그 결과 CD 표면에 무지개가 생긴답니다. CD 표면에 물방울을 뿌리고 이쪽 저쪽에서 빛을 비추며 관찰해 보세요. 더 멋진 무지개를 볼 수 있을 거예요 ... ...
지구온난화 가속시키는 바이오연료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많은 광속(光束)을 중복시키는 방법 다광속
간섭
및 다중반사로 인해 생기는 많은 광속이
간섭
하는 경우가 좋은 예이다진공관 또는 트랜지스터 두 개를 서로 양의 되먹임(피드백)에 걸리도록 결합하여 도약적인 진동을 일으키게 하는 발진기 결합 방법에 따라 안정상태가 0인 비안정형, 1인 단안정형 ... ...
part 2 원하는 소리만 골라 듣는 '소머즈'귀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만나면 보강
간섭
이 일어나 크기가 증폭되고, 위상이 정반대인 파동 두 개가 만나면 상쇄
간섭
이 일어나 크기가 작아진다. 가까이서 들리는 큰 소리는 제거하고 멀리서 들리는 소리만 듣고 싶다면, 가까이서 나는 소리와 크기가 동일하고 위상이 반대인 소리를 더해 주면 된다. 현재 이 기술은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곡률반지름이 큰 평볼록렌즈의 볼록면을 유리 평면 위에 놓을 때 볼 수 있는 고리 모양의
간섭
무늬 R 후크가 1665년에 관측하고 후에 I 뉴튼이 고리의 반지름을 정밀하게 측정했다 한결같은 흐름 속에 있는 물체에는 유속 V의 제곱과 밀도 에 비례하는 저항이 작용한다는 법칙 유체가 수많은 미립자로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의 필름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물체를 투과해 산란을 일으킨 빛과 녹색레이저를 함께 쏴
간섭
을 일으킨 영상을 저장했다. 이 과정에서 고분자의 색소가 재배열되고 전자가 재배치되면서 굴절률이 위치에 따라 달라져 정보가 기록된다. 그 뒤 붉은색레이저를 쏴 고분자 필름에 저장된 3차원 ... ...
과학소년, 소녀들의 필독서 파브르 곤충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질문을 던진다.”어쩌면 곤충들이 택한 ‘삶’의 방식에 대해 인간이 이러쿵저러쿵
간섭
하거나 의문을 던지는 일 자체가 불필요한지도 모른다. 세심한 관찰자인 파브르는 그가 관찰한 곤충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독자에게 전달하길 원했다. 모든 것을 원인과 결과로 설명하려는 진화론과 지독한 ... ...
EPISODE1 또 하나의 '투모로우'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1만 5000년 뒤쯤 빙하기가 찾아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물론 사람에 의한 인위적인
간섭
을 배제했을 때 가능한 일이다.과학자들은 나무의 나이테도 놓치지 않았다. 따뜻한 햇살과 비가 풍부할 때는 나무가 잘 자라므로 나이테의 간격이 넓고, 혹독한 추위나 가뭄을 견뎌야 할 때는 나이테의 간격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