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상
정점
절정
천정
천정점
최고부
수석
d라이브러리
"
꼭대기
"(으)로 총 50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날아가 일본 동북부에 5cm가 넘는 높이의 화산재 지층을 남겼다. 1215년의 폭발로 산
꼭대기
가 날아가고 남은 구멍에 물이 고여 호수로 바뀐 것이 현재의 천지다. 위대한 예측1991년 6월 12일 폭발한 필리핀의 피나투보 화산은 그 해 지구 전체의 온도를 0.5℃ 떨어뜨렸다.하지만 폭발 직전까지 400년 넘게 ... ...
빌딩만 한 파도도 피할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일어나는 원인이죠. 또한 파도의 밑부분이 위쪽보다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파도
꼭대기
가 먼저 나가면서 해안가를 덮치고 말지요. 우리나라에선 동해가 지진해일의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에요. 수심이 2km나 되고 일본 서쪽에서 일어난 지진의 영향을 직접 받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진해일은 미리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위치하는 도리.*처마 : 기둥의 바깥쪽에 자리 잡은 지붕이나 그 아랫부분.*용마루 : 지붕
꼭대기
에 기와를 쌓아 만든 작은 담.*범종 : 때나 시간을 알릴 때 절에서 쓰던 종.*Hz : 주파수 단위로 1Hz는 ‘1초에 한 번’을 의미한다. 즉, 100Hz는 1초에 100번 진동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쇼!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수천 년 동안 한반도를 터전으로 호랑이와 더불어 살아 왔어. 물론 먹이사슬의 가장
꼭대기
에 있는 호랑이가 사람에게 해를 입힐 때도 있었지만, 조선 시대에 이르며 상황은 역전되기 시작했지. 유교 사상이 강화되면서 백성을 해치는 호랑이를 잡아들이는 정책을 폈고, 그 결과 호랑이의 수는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점이다. 호랑이 같은 천적이 산에서 사라진 지금 멧돼지는 국내 생태계 먹이사슬의
꼭대기
를 차지했다.이에 정부는 매년 넉 달간 ‘유해동물 구제기간(파종기부터 수확기까지)’을 지정하고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야생동물을 포획하고 있지만 효과는 크지 않다. 가장 큰 이유는 멧돼지의 왕성한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건물 구조와, 엘리베이터의 구획을 분리해 전망용 엘리베이터가 아니고서는 한 번에
꼭대기
까지 올라갈 수 없도록 제한하는 시스템도 굴뚝효과를 줄이는 데 한몫했다. 최근엔 권상기가 로프를 움직일 때 로프의 진동을 분석해 줄이는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수십t의 엘리베이터만 ... ...
어린왕자가 다녀간 대청도 '모래사막'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듯이 언덕을 쓰다듬어 완만하게 만든다. 바람이 육지에서 북쪽 바다로 불면서 사구
꼭대기
에 있던 모래를 쓸어가기 때문이다.옥죽동사구에 숨겨진 ‘우물’은 어린왕자의 눈물이 아닐까. 가족이 그립고 고향이 그립고, 장미꽃이 그리웠던 어린왕자가 바다를 보며 눈물지을 때 함께 울어주던 은빛 ... ...
신 세계 7대 자연경관 후보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흙무더기를 쌓아 편평한 제주도를 만들고 그 한가운데에 한라산을 세웠다. 그 뒤 한라산
꼭대기
는 할망이 잘못 휘두른 빨래방망이에 맞아 저편으로 날아가 산방산이 됐다. 설문대할망 설화가 전해져 내려오는 제주도는 한국에서 가장 큰 섬으로 약 120만 년 전 바닷속에서 마그마가 분출되면서 ... ...
귀신 보는 사람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연구팀은 명상이 최고조에 이른 순간의 뇌를 SPECT로 촬영했다. 그 결과 대뇌 한가운데의
꼭대기
(정수리 부분)에 있는 두정엽의 활동은 급격히 약해지는 반면, 전두엽의 활동은 활발해지는 것이 관찰됐다. 두정엽은 물리적인 외부 자극을 지각하는 부위다.뉴버그 교수는 2002년 발간한 자신의 책 ‘왜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이러스와 축구공의 공통점정이십면체는 꼭짓점이 12개인데, 각 꼭짓점은 오각뿔
꼭대기
에 자리하고 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 5개가 모여 오각뿔 형태를 이룬다. 이런 단위체를 펜타머(pentamer) 또는 펜톤(penton)이라고 부른다. 펜트(pent)는 ‘5’를 뜻하는 그리스어다. 결국 바이러스 캡시드는 펜타머 1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