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치
허비
지출
감손
줄어듦
d라이브러리
"
낭비
"(으)로 총 48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8호
재료로 만든다. 건물에서 쓰고 버리는 에너지도 다시 거둬 쓴다. 보통 건물은 이래저래
낭비
되는 에너지가 많다. 자린고비 건물은 제대로 쓰지 않고 버리는 폐열을 거둬 전기로 바꾸거나 필요한 곳에 다시 공급한다. 빗물을 모아 잔디밭에 주거나 화장실 변기에 쓰는 방법도 이용한다 ... ...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내지 못했다. “이때 원장님께서 저를 불러 다른 부서로 옮겨준다고 하셨지만, 인생을
낭비
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싶었습니다.”기계도 손으로 어루만지면 인간과 교감이 이뤄지는 것일까. 구 박사의 손때가 묻은 STM은 지금 그가 하는 연구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고 있다. 구 박사는 “10~20년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위해 여성성을 버릴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그동안 ‘외모나 옷에 신경 쓰는 것은 에너지
낭비
’라고 생각했던 나에게 이 말은 신선한 충격으로 와닿았다. 시련을 당당하게 헤쳐나간 선배들이 있기에 더 힘이 솟아났다. 갑자기 하늘의 구름을 보며 “과학해서 행복한 사람 여기 한명 더 있어요!”라고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의견에 공감은 하면서도, 값으로 도저히 환산할 수 조차없는 엄청난 시간
낭비
와 인력
낭비
를 하느니 윗산 마을의 요구대로 농산물의 20%를 무상 제공하고 중앙정부의 인공강우지원을 받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팽팽하게 맞선 의견이 좀처럼 한 쪽으로 좁혀지지 ... ...
창작어린이뮤지컬 원자야, 고마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7호
이들이 험난한 여행길에 오른 까닭은 에너지 때문이다. 샤우리는 에너지를 너무
낭비
하다가 자연이 모두 파괴됐다. 그래서 산에 나무도 없고 강물은 모두 말라 버렸으며 물고기도 사라졌다.결국 안드로와 셀파는 지구에서 어떤 방법으로 에너지를 만드는지 조사하기 위해 빛의 속도로 1만 년 동안 ... ...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약간 우월하기만 하면 된다. 너무 뛰어난 능력을 갖춰봤자 별 쓸모가 없고 에너지
낭비
일 뿐이다.그런데 그런 비정상적인 능력을 갖춘 생물이 하나 있긴 하다. 바로 인간이다. 생태적으로 보면 인간만한 괴물은 없다. 처음에는 인간을 혼비백산하게 만들었다가 나중에는 인간에게 역습을 당하는 ... ...
꿈일까, 현실일까? 눈앞에 펼쳐지는 에너지 유토피아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도착할 수도 있다. 홈페이지(www.enertopia.or.kr)를 통해 미리 관람시간과 동선을 정하고 가면
낭비
되는 시간과 발품을 줄일 수 있다. 2. 전시물의 메시지를 읽자! 전기에너지관의 전시물은 규모가 크고 시각적인 효과도 뛰어나다. 전시관에 들어서면 한 눈에 “와~”하는 탄성을 지르게 되지만, 자칫하면 ... ...
1. 너희가 섹스를 아느냐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유지하게 된 것은 다른 동물의 암컷들에 견주어 볼 때 생물학적으로 어처구니없는
낭비
가 아닐 수 없다. 대부분의 포유류는 오로지 발정기에만 교미를 하여, 교미의 본래 목적인 수태를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능력을 최소한으로 투입하기 때문이다.이런 맥락에서 수태 가능성을 도외시하고 ... ...
무엇이든 만드는 만능인쇄시대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값비싼 재료들을 웨이퍼에 뿌린 뒤 필요한 부분만 남기고 깎아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낭비
가 심했다. 하지만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면 버리는 부분이 없다.2004년 엡손은 독자적인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응용해 세계 최초로 40인치 대형 OLED 개발에 성공했다. 이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움직이는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지하로 흘러드는 경우 하수관을 타고 흘러나가 땅위에서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물
낭비
를 막기 위한 좀더 효율적인 수단이 절실했다. 이에 순천향대 홍인식 교수팀은 상수도관 네트워크 누수감지 시스템을 처음 개발했다. 통신 네트워크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비에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