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양"(으)로 총 1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알아두면 이 구역 검색왕! 정보 검색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찍어 검색해 보세요. ‘네이버 스마트 렌즈’ 나 ‘구글 렌즈’ 등으로 사진을 찍어 다양한 내용을 검색해 봐요. 예를 들어 길에서 본 꽃의 이름이 궁금하다면, 스마트 렌즈로 사진을 찍어 검색해 보세요. 이렇게 검색해 나온 결과들 중 잘못된 정보와 유용한 정보를 가려내는 방법을 알고 있나요? ... ...
- [꿀꺽! 수학 한 입] 의사결정나무 ②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단, 척추동물을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다섯 가지로 분류하는 것 말고도 다양한 분류 방법이 있습니다. 사는 곳, 생김새 등 다른 기준에 따라 분류한다면 함께 묶이는 동물도 달라질 수 있지요. 그렇지만, 의사결정나무만 안다면 그 어떤 분류 방법도 문제없어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달콤한 디저트가 잔뜩! 과자 먹방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이후로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건강 관리를 할 때 내장의 다양성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해야 한다”며 “우리가 아직 우리 몸속에 대해 모르는 사실이 많기 때문에 앞으로 탐구해야 할 것이 많다”고 전했답니다 ... ...
- [기획] 약국에서 받은 약, 뭐가 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걸려서 병원에 갔더니, 다양한 약을 처방해 주셨어. 무슨 약이 들어 있는지 볼까? 여러분은 얼마나 자주 감기에 걸리나요? 어린이는 보통 1년에 6~10번 정도 감기에 걸려요. 감기 증상은 보통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1~3일 안에 나타납니다. 콧속에 불편한 기운이 느껴지고, 목이 간질간질하다 재채기를 ... ...
- [꿀꺽! 수학 한 입] 오리너구리는 오리?너구리? ..,인공지능 분류를 도와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그럴만도요. 전 세계 동물은 약 150만 종이나 됩니다. 수많은 종류의 동물을 분류할 땐 다양한 기준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어떤 기준이라도 인공지능의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다면 문제없습니다. 저만 따라오세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꿀꺽! 수학 한 입] 오리너구리는 오리 ...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어둠 속 등불처럼 환한 버섯? 황금등불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자낭균은 최소 3만 2000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세상에는 정말 기상천외하고 다양한 버섯들이 많이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버섯, 즉 인류가 지금까지 정체를 밝혀온 버섯들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답니다. 정체 모를 버섯들이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 주위에 잔뜩 널려 있다는 뜻이지요. 정체 ... ...
- [기획] 약, 잘 먹고, 잘 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약은 유통기한이 지나면 버려야 해요. 이때 약을 아무 데나 버리면 안 됩니다. 약에는 다양한 화학 성분이 섞여 있어요. 변기나 하수구에 약을 그대로 버리면 화학 성분이 그대로 강물로 흘러 들어가지요. 서울 중랑천의 성분 변화를 연구하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김현욱 교수팀은 “하천에서 ... ...
- 열여라! 즐거운 화학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0호
- 화학산업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지요.먼저 석유화학랩에서는 섬유, 플라스틱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는 석유화학물질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어린이 연구원들은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미네랄 오일에 드라이 플라워를 넣어 오랫동안 꽃을 보관할 수 있는 ‘하바리움’을 ... ...
- AI가 마비환자 생각읽고, 아바타로 대신 말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혀, 후두의 근육으로 전해졌을 뇌 신호를 포착했지요. 앤에게 1024개의 단어가 들어 있는 다양한 문장을 반복해서 보여주고 말하도록 한 뒤, AI가 뇌파를 감지하고 해석하도록 반복 훈련했습니다. 한편 연구팀은 사고 전 녹음된 앤의 목소리 파일을 이용해 앤의 목소리로 말하는 아바타를 ... ...
- 달 남극, 내후년엔 사람이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우주인이 자급자족할 수 있도록 NASA는 달에서의 산소 및 연료 합성, 작물 재배 등 다양한 연구를 하고 있어요. NASA는 지난 4월 모의 달 토양을 가열해 산소를 생산해내는 데 성공하기도 했지요. NASA는 올해 10월 중 달 궤도 탐사선 ‘달 개척자’를 달로 발사해 달의 물 지도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