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지구를 잠시 떠나 보세요! 우주에서 지구 감상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지구에 있는 여행지로는 아쉽다고요? 더욱 특별한 여행도 있습니다. 로켓을 타고 우주의 경계에 다녀오거나, 풍선을 타고 성층권에서 지구를 구경해 보세요! 지구 준궤도 우주여행 티켓, 312억 원에 낙찰!6월 12일, 미국의 우주기업 블루오리진에서 진행하는 민간인 준궤도● 여행 티켓이 312억 원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어과동 홈페이지에서 플라스틱 다이어트 서명/ 일기/ 줍깅에 참여해 주세요. 어과동에는 작은 실천으로 지구를 구하는 영웅이 많아요. 이 작은 영웅들은 플라스틱 줄이기에 동참하는 ‘플라스틱 일기’, 쓰레기를 줍는 ‘줍깅’, 플라스틱 분리배출 인증하는 ‘따·분·행! 캠 ... ...
- [논문탐독] 나노분자 바구니에 담아 무게를 측정하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바이오의약품은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원료 또는 재료로 제조한 의약품입니다. 인슐린이나 성장호르몬 등을 인위적으로 합성한 재조합단백질과 항체치료제 등 다양한 형태로 의료계에서 사용되고 있죠. 2012년부터 꾸준히 규모가 커지고 있으며, 2019년 기준 전체 의약품 시장의 30%를 차 ... ...
- 누리호│기적의 성공, 작은 아쉬움 “내년 5월 완벽에 재도전”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0월 21일 오후 5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가 하늘로 날아올랐습니다. 과학동아 편집부도 퇴근을 미루고 한마음 한뜻으로 누리호 발사 성공을 기원했습니다. 성패를 가른다는 1단 엔진 분리가 정상적으로 이뤄지며 하나 둘 성공 기사가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3단 엔진이 점화하며 곧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8일 발사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유럽 발사체 아리안5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상상했다. 이번에는 떠날까. 이달 1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드디어 발사된다. 1996년 차세대 우주망원경(NGST)으로 처음 제안된 이후 25년 만이다. 성공적으 ... ...
- 고기, 이제는 ‘제조’합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인류는 새로운 고기를 찾기 위한 여정을 시작했다. 기존 공장식 축산에서 불거진 동물 윤리 문제와 환경 문제가 외면하지 못 할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2013년 네덜란드의 한 대학의 실험실에서 처음 탄생한 배양육도 그 후보 중 하나다. 동물에서 추출한 세포를 증식, 분화시켜 근육이나 지방 조 ... ...
- [기획] 노벨화학상, 비대칭 분자를 만드는 정확한 도구를 개발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곰 인형을 만들겠답시고 머리, 다리, 몸통을 마구 연결한다면 결과물은 처참할 것이다. 올바른 위치에 각 부분을 연결해야 비로소 우리가 알고 있는 곰 인형 모양이 나타난다. 분자를 만드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원하는 형태의 분자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인 원자를 잘 이어줄 도구가 필요하 ... ...
- 실험실에서 만든 푸아그라, 정말 먹어도 괜찮을까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베이컨이랑 똑같은 맛이에요. 소를 착취할 필요가 없어 윤리적이고, 소가 내뿜는 메탄가스 때문에 환경이 오염될 걱정도 없죠. 지방 함량을 줄여 건강하기까지 합니다.”‘이런 게 왜 이제야 나왔지’ 하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매력적인 배양육 베이컨의 광고 문구다. 고기를 먹으면서 죄책 ... ...
- 소행성 위협 막을 첫걸음 DART과학동아 l2021년 11호
- 11월 24일 미국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는 특별한 임무를 부여받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이 발사된다. 임무 제목은 ‘쌍 소행성 궤도수정 시험(DART·다트)’. 우주선을 소행성에 충돌시켜 소행성의 공전 궤도와 속도를 바꾸는 게 목표다.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한다면 언젠가 발생할지 모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대부터 날씨와 기후를 조절하는 바람과 물의 움직임은 예측 불가능하고 알 수 없는 것으로 취급됐다. 현대에 들어 기후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지만, 수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인류가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