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업"(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엘리트 교육, 자이언트 지원으로 스마트공장 시대 앞당긴다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실증랩(스마트랩)’이었다. 박태현 경남대 기계공학부 교수 겸 스마트제조지원사업단장은 “스마트공장의 전 과정을 제대로 실습할 수 있는 국내 최초의 시설”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곳에선 모든 공정을 단계별로 실증해 볼 수 있다. 원자재를 투입하면 1차 가공과 전처리, 검사 과정을 차례로 ... ...
- [신 기후체제] 기후 재앙 앞둔 인류세 해수면 상승을 막아라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높이와 피해에 대한 예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극지연구소 해수면 변동 예측 사업단은 극지방 빙하가 녹는 현상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과거 수백~수천 년간 해수면이 어떻게 변했는지 분석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이런 연구를 바탕으로 정량화된 자료를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기후변화에 ... ...
- [특집] 2020 어과동 어워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어과동 친구들, 어서오세요~. 2020 어과동 어워드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돌이켜보니 코로나19로 우리의 일상이 많이 바뀐 한해였네요. 하 ... 교수), 윤미정(국립수목원 수목원과 임업연구사), 추헌철(서울특별시동부공원녹지사업소 공원여가과 실무관), 지구사랑탐사대 완도탐사대 ... ...
- [2020 어과동 어워드] 지사탐 특별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3호
- 어과동 친구들에게 인사 부탁드려요! 친구들, 안녕하세요^^. 서울특별시동부공원녹지사업소에서 나비를 연구하고 있는 추헌철입니다. 올해 처음으로 나비가 지사탐 공식 탐사종이 되면서 함께하게 되었지요. 그동안 지사탐 특별 강연으로 대원들을 만난 적도 있고 어벤져스 연구원들과 교류하며 ... ...
- 놓치지 마! 2020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과학자가 되고 싶은 친구들, 주목! 지난 10월 5일부터 12일까지 2020년 노벨상 6개 부문의 수상자가 속속 발표됐어요. 이중 과학 분야인 노벨 생리의학상, 물리학상, 화학상을 살피면 미래 과학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도 보이지요. 올해 수상한 연구 중에 맘에 드는 분야가 있다면 여러분도 ‘PICK’ 해 ... ...
- [시사과학]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은? 유엔 세계식량 계획!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직접적인 식량 제공은 물론, 영유아와 임신부를 위한 영양 개선 사업, 황무지 개간 사업 등도 진행하지요.현재는 코로나19에 대응할 필수 의료품과 인도적 지원장비, 의료인과 활동가를 에티오피아, 가나, 말레이시아 등 방역의 최전선으로 보내는 수송 체계를 갖추는 중이랍니다. 코로나19가 낳은 ... ...
- [과학뉴스] 비상! 약 50년간 야생 척추동물 수 2/3 줄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동물원에서 사육되던 프르제발스키 말 일부를 몽골 초원 지대로 돌려보내는 등 복원 사업이 시작됐어요. 그 결과, 최근에는 760마리로 늘어나 인간의 도움 없이 군집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가 됐답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를 위해 큰 유산을 남기다,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 노벨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발표될 예정이죠.잘 알려져 있다시피, 노벨상을 만든 사람은 스웨덴의 공학자이자 사업가인 알프레드 노벨이에요. 1833년 10월 21일 태어난 노벨은 안전한 고체 형태의 폭약인 다이너마이트를 만들어 떼돈을 벌었어요. 그러나 다이너마이트가 전쟁 무기로 쓰이는 것을 지켜보며 큰 절망을 느꼈지요. ... ...
- [시사과학] 의사들이 병원을 떠난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한약 처방에도 보험 적용을? 7월 24일, 보건복지부가 발표한 ‘첩약 급여화 시범 사업’도 갈등에 불을 지폈어요. 첩약 급여화? 좀 어렵죠? 올 10월부터 일부 질병(안면신경마비, 뇌혈관 질환후유증, 월경통)에 한해서 한약에 보험을 적용해 국민들이 한약을 저렴하게 살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에요. ... ...
- [진흙] 지구를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1990년대 중반부터 새만금 갯벌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2006년 새만금 갯벌은 간척 사업을 위해 방조제로 막히고 말았죠. 그 지역에 사는 시민들에게 갯벌의 중요성을 제대로 알리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저는 시민들과 함께 갯벌의 생태계에 대해 알아보고 갯벌의 중요성을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