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번식
성기
사육
개량
생식기관
생식기
기관
d라이브러리
"
생식
"(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체크□ 만 9세 전에 고환이 4㎖(아빠 엄지 한 마디 크기)로 자란다.□ 만 10세 전에
생식
기관에 털이 난다.아래는 여자만 체크□ 만 8세 이전에 가슴에 몽우리가 생기고 아프다. □ 만 10세 이전인데 생리를 시작한다.※ 증상이 하나라도 있으면 소아청소년과에 가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1% 미만이며, 나머지는 암컷이 더 큰 경우가 지배적이다. 암컷이 더 큰 이유는 앞서 말한
생식
력 선택 가설(암컷이 무거울수록 더 많은 알을 낳는다)이 지지를 받지만, 설명하기가 어려운 생물도 많다. 일반적으로 포유류는 수컷이 더 크지만 포유류를 세부 분류해 한 단계 아래로 내려가면 토끼목처럼 ... ...
INTRO. Y의 몰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점점 줄어들어왔다. 게다가 갖고 있는 유전자 중 인간에게 뚜렷이 도움이 되는 것은
생식
능력 정도라고 알려져 있다. 비슷한 맥락으로 Y로 대표되는 남성성도 현대 사회에서 크게 의미가 사라지고 있다. 그래서 기자는 이 기사를 통해 감히 주장한다. 이제는 Y가 ‘몰락’하는 시대라고.▼관련기사를 ... ...
PART 2.Y가 사라진 세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미지수지만, 여성성을 나타내는 X 염색체와 짝을 이루는 만큼
생식
에 새로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또다시 새로운 성(性)이 탄생하는 시작을 우리는 목격하고 있는 건지도 모른다.지구 역사 46억 년에서 생물이 등장한 시기는 지극히 짧다. 짧은 시간 동안 생물은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내밀었다. 작은 통 안에서 흰새우가 옆으로 재빠르게 움직였다. "움직이는 모양이나
생식
기를 보면 대충 느낌이 가요. 정확한 건 더 연구해봐야 알겠지만요." 담수(민물)생물은 바다 건너 이동하지 못하므로 지역별 종고 유성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는 옛새우 종류가 많다. 옛새우는 석탄기(약 3억600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자라지 않는다. 단순히 자포니카와 인디카 종을 교배시켜 새로운 품종을 만들면 대부분
생식
을 할 수 없는, 불임 벼가 만들어졌다. 허 교수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포니카와 인디카를 교배시킨 뒤 불임이 아닌 종자를 다시 인디카와 교배시키는 3원 교배로 ‘통일벼’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말렴. 우울한 마음을 달래 줄 겸 힘나는 이야기를 해 주마. 아까 사람들은 나이를 먹으면
생식
능력이 떨어지고 여러 병 때문에 사망하게 된다는 이야기를 했었지? 그런데 2013년 덴마크 서던덴마크대학교의 국제공동연구팀이 여러 생물을 조사한 결과 나이를 먹어도 아이를 쑥쑥 잘 낳고, 오히려 ... ...
“친부모가 3명이라고?” 영국, 세 부모 체외수정법 도입 추진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사실상 부모가 셋인 아기가 태어날 가능성이 열렸기 때문이다.영국의 보건부 산하 인간
생식
배아관리국(HFEA)은 6월, 두 명의 어머니로부터 각각 핵과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제공 받는 새로운 체외수정법에 대한 검토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 수정법은 미토콘드리아 질환으로 고통 받는 예비 부모를 ... ...
바다로 간 제돌이 “잘 살고 있어요.”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남방큰돌고래의 짝짓기 시기는 봄과 여름이다. 이 시기에 수컷은
생식
기가 배 밖으로 나오는 등 구애 행동을 하며, 암컷 한 마리가 수컷 여러마리와 짝짓기를 한다. 그래서 DNA를 분석하지 않는 이상 아비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어미는 새끼가 옆에 붙어서 다니기 때문에 ... ...
황우석 대 오보카타 하루코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혼란스러워 했다. 그가 확립했다는 줄기세포는 여전히 발견된 적이 없고, 오히려 처녀
생식
에 의한 우연한 결과라는 판정이 내려졌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황우석 박사는 여전히 논문의 과학적 검증보다 ‘잿밥’에 더 관심이 많다.그는 여전히 정치인들을 찾아다니며 언론플레이에 집중했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