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조금
한모금
근소
약간
d라이브러리
"
소수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 원주율 세계 기록 달성!
소수
점 아래 62조 8318억 5307만 1796번째 자리까지 계산했다고?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10호
같은 값이 나왔어요. 그것이 바로 3.141592로 이어지는 원주율이에요. 기호로는 π이지요.
소수
점 아래 숫자가 끝나지 않고 계속해서 이어지지만, 앞의 3개 숫자 3.14만 이용해서 원의 둘레를 구해도 자로 재는 것과 큰 차이 없이 값을 구할 수 있었어요. 일일이 원의 둘레를 재지 않아도 됐고요 ... ...
슈퍼 컴퓨터 성능이 궁금해? 원주율 계산에 도전해 봐!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추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여러 연구팀이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π값의
소수
점 이하 수십조 자리까지 구하지만, 이 정도로 정확한 값이 우리 생활에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다른 계산을 복잡하게 만들어 연산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기 때문이죠. 롤케 교수는 “π값을 계산하는 ... ...
[이달의 우주 날씨] 가을철 별자리와 이웃 은하 이야기!
수학동아
l
2021년 10호
백 개 이상의 은하가 모여 작은 마을을 이루는 국부은하군에 포함돼 있습니다. 은하군은
소수
의 밝고 큰 은하와 다수의 어둡고 작은 은하로 이뤄져 있는데, 가을철에는 다양한 국부은하군을 볼 수 있습니다. 국부은하군에 속한 은하 중 가장 큰 것이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 은하(M31)입니다. 이중 ... ...
[오일러프로젝트]
소수
판사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
[이달의 수학자] 기하학과 정수론 그리고 노력의 대가 베른하르트 리만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소수
를 다루는 몇몇 정수론 이론이 리만 가설이 참이라는 전제를 두며 현대 암호 체계가
소수
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리만 가설은 정수론 외에 양자역학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1972년 미국의 수학자 휴 몽고메리는 프린스턴고등연구소의 물리학자 프리먼 다이슨을 찾아가 리만 가설과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제21화. 우주를 관측하고 기후변화에 대처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21년 09호
수학자 에드워드 노튼 로렌츠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합니다. 모델에 정확한 초깃값 대신
소수
점 아래 일부를 생략한 값을 넣자 완전히 다른 기상 현상이 예측된 거죠. 1963년 로렌츠는 이 내용을 담아 ‘결정론적인 비주기적 흐름’이라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대기과학저널’에 발표했고, 이것은 ... ...
윤리에 눈 뜬 AI, 망각에 손 내밀다
과학동아
l
2021년 09호
정보를 대화로 노출했다. 심지어 이루다가 학습한 데이터 속에 섞여 있던 편향성은
소수
자 차별과 성희롱 등으로 표출됐다. 비슷한 사례가 전 세계 다양한 AI 모델에서 나타났다. 이에 일부 연구자들이 의도적 망각을 도입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의도적 망각은 AI가 이미 학습한 데이터 중 일부를 ... ...
[이달의 수학자] 무명 수학자에서 수학자의 영광이 되다, 닐스 헨리크 아벨
수학동아
l
2021년 08호
가우스에게 보냈습니다. 하지만 가우스는 ‘모든 복
소수
계수의 대수 방정식은 복
소수
근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했고 따라서 ‘5차 이상 방정식도 근의 공식이 존재할 것’이라 생각했기에 이를 쳐다보지도 않았습니다. 하지만 결국 아벨은 유한개의 제곱근과 사칙연산을 이용해 5차 이상의 ... ...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그는 공로를 인정받아 2006년에 필즈상을 받았죠. 또 2012년에는 ‘5보다 큰 모든 홀수는 세
소수
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는 골드바흐의 약한 추측을 일부 증명했습니다. 2015년에는 80여 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로 ‘1과로 이뤄진 무한수열의 합은 임의의 정수보다 크다’는 내용의 에르되시 불일치 ... ...
[한페이지 뉴스] 현미경 없이 현미경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고가의 현미경이 필수다. 이런 이유로 그간 질병 관련 유전자 연구는 고가의 설비를 갖춘
소수
의 연구자에게만 허락된 일이었다.이준희 미국 미시간대 의대 교수팀은 공간 바코드 기술로 현미경 없이도 초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얻는 방법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셀’ 6월 1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1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