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핸들
쥐개
손자비
손재비
꼭지
기뽕
d라이브러리
"
손잡이
"(으)로 총 337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표면에는 3가닥씩 덧무늬를 2단으로 두르고, 10장짜리 꽃잎무늬 ‘유좌’( 座)에 구슬모양
손잡이
를 달았다. 바닥에는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 十)’을 돋을새김한 4행 16자의 명문이 적혀있다. 해석하면 ‘국강상에서 잠든 광개토대왕을 기리기 위해 ... ...
가장 아름다운 별 푸르체리마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목동자리를 찾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북두칠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북두칠성의 국자
손잡이
부분은 직선이 아니라 약간 굽은 곡선인데 이 곡선을 따라 북두칠성 길이 만큼 연장한다. 그러면 매우 밝은 별에 이르게 되는데 이 별이 바로 아크투르스이다. 아크투르스는 올해 봄하늘에서 목성 다음으로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사용된,
손잡이
가 겉에 드러나 있는 그립타입이다. 카퍼레이드 등을 할 때 경호원들이
손잡이
를 붙잡고 뛸 수 있도록 고려한 것이다.운전사 바로 앞 전면 유리창에는 적외선 감지 영상을 보여주는 나이트 비전이 설치돼 있다. 덕분에 총격으로 헤드라이트가 모두 부서져 칠흑 같은 어둠 속에 갇혀도 ... ...
미래 개인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세그웨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앞으로 움직이고 뒤로 당기면 정지하거나 후진한다. 좌우로 방향을 바꿀 때는 손목 아래
손잡이
를 원하는 방향으로 틀면 그만. 정지된 상태에서 회전 조작을 하면 한바퀴는 앞으로 돌고 남은 다른 바퀴는 뒤로 회전하는 방식으로 방향을 튼다.최근소식미 국방부와 매사추세츠공대를 중심으로 ... ...
대못안경에서 다초점렌즈까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보급돼 여러가지 독특한 형태가 등장했다. 예를 들면 영국이나 프랑스에서는 돋보기처럼
손잡이
가 달린 안경과, 단안경을 눈에 대고 보는 외알안경이 유행했다. 현재의 안경처럼 귀에 안경다리의 끝부분을 걸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기는 1850년 이후다. 이때 벌써 무테안경이 등장하기도 했다 ... ...
뭉클뭉클, 이 느낌이야!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쑥 들어간다. 눈을 감고 해보니 정말 고기덩어리를 만지는 듯한 착각이 든다. 김씨는 “
손잡이
부분을 촉진 상황에 맞게 설계하고 그래픽을 개선하면 바로 의학 교육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기자가 경험해본 햅틱 장치들은 아직 기본적인 단계다. 그러나 화면을 조작할 때 상황에 맞게 ... ...
오른
손잡이
는 시계방향 가마 가져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아직까지 논란이 되고 있다. 학습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왼
손잡이
부모 사이에서도 오른
손잡이
아이가 흔히 태어난다는 사실을 들고 있다.그러나 이번 발견을 적용하면 위의 현상이 유전론에 모순되지 않는다. 아이가 부모로부터 받는 열성 유전자(rr)는 손의 우선권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 ...
박테리아가 말하는 익사체의 비밀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아래 모이자, 마을 주민 중 한사람의 낫에 파리떼가 몰려들기 시작했다. 그때까지 칼날과
손잡이
에 남아있던 피와 살조각 때문에 파리가 모여들기 시작한 것이다.17세기에 들어서면서 파리의 유충이 구더기라는 사실이 밝혀지고, 고깃덩어리나 썩은 시체에 파리가 알을 까서 구더기가 생긴다는 점을 ... ...
시계의 역사 간직한 찬송가·뮤직박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종치는 기술을 갈고 닦아야만 했다.결국 종치기는 교회 탑에 걸린 것과 같은 모양의 종에
손잡이
를 부착해 손으로 흔들어 소리를 낼 수 있는 핸드벨로 먼저 연습을 했다. 한소리 양이 손에 들고 있는 핸드벨이 바로 중세 종치기들이 교회 탑에 걸린 종을 치기 위해 연습하던 종이다. 핸드벨로 연습을 ... ...
천마도 캔버스는 수입품 아니다
과학동아
l
2002년 10호
못한다’고 했으며 다음해인 세종 20년에도 비슷한 기록이 있다.이 외에도 활을 만들 때
손잡이
부분을 잡을 때 아프지 않게 하기 위해 자작나무나 벚나무 껍질을 바른다. 하지만 벚나무보다는 자작나무가 더 고급품으로 여겨졌다. 자작나무는 껍질만큼이나 나무속도 황백색으로 깨끗하고 고르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