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은
보답
보시
d라이브러리
"
수은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의 표면장력 정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표면장력(dyne/cm)은 물 72.8, 글리세린 63.1, 비눗물 25-35, 그리고 에탄올은 22.3이다. 한편
수은
의 경우 15℃에서 표면장력이 4백87이나 된다. 일반적으로 표면장력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한다. 이 실험에서 주방용 세제 대신 물보다 표면장력이 작으면서 잘 섞이는 물질을 사용해도 된다 ... ...
맞붙은 그릇 속에 열쇠 숨기기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 ▶ ▶ 이 장치를 누가 처음으로 생각해냈을까?이탈리아의 과학자 토리첼리(1608-1647)는
수은
주의 실험을 통해 최초로 진공상태를 확인하고 기압을 발견했다. 이후 과학자들은 기압에 관한 여러 실험을 수행했다. 프랑스의 철학자 파스칼(1623-1662)은 평지와 산 정상에서 토리첼리의 실험을 실시해 산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교수를 비롯한 중국 학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진시황릉이 있는 지하 깊숙한 곳은 사방이
수은
으로 막혀있다. 바로 발굴에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지하궁전을 발굴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 내부 부장품들이 산화돼 손상된다. 따라서 산화로 인한 부식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신기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기체는 온도를 내리면 결국 액체가 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 또한 오네스는 4K에서
수은
의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다. 그는 극저온의 세계와 초전도성의 발견으로 191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다. 우주여행을 위한 생명체 냉동이처럼 극저온은 냉동액체 없이는 도달할 수 ... ...
역사 속 과학자들의 기괴한 행동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셸레는 꼼꼼한 성격 탓에 화학물질을 직접 맛을 보고 확인해야 만족했다. 비산, 염화제이
수은
, 시안화수소와 같은 독극물까지 직접 맛을 보는 엽기적인 행동을 했으니, 한창 나이에 세상을 등질 수밖에 없었다.대수학 분야 형성에 기여한 프랑스의 수학자 에바리스트 갈루아(1811-1832). 갈루아는 한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실험실에서 유리용기와
수은
을 이용해 만드는 정도에 불과하며 용량도 적었다. 또한
수은
의 독성 때문에 다루기가 몹시 까다로웠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진공기술은 현대 과학기술의 태동에 크게 이바지했다.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 뢴트겐이 X선을 발견한 일도 진공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뿐 아니라 ... ...
2. 식품의 신선도 감시하는 바이오 파수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위한 혈당치 검출센서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 밖의 효소센서는 페놀을 측정하거나
수은
을 검출하고, 농업용으로 환경계측에도 사용된다.미생물을 센서로 쓰게된 아이디어는 어디서 왔을까. 효소는 가격이 비싸고 주변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불안정하기 때문에 안정된 센서가 요구됐다. ... ...
표면장력이 부리는 물의 마술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쉽게 볼 수 있는 액체들 중 표면장력이 가장 큰 것이 바로 물이다. 다른 물질과 비교하면
수은
> 물 > 알코올 순이다.뚝딱 실험2 퐁퐁 엔진왜 그럴까?!배의 가운데 부분에 떨어뜨린 퐁퐁은 배의 뒤쪽으로 난 통로를 따라 뒤로 흘러나간다. 이때 퐁퐁은 물과 친해서 물분자끼리 잡아당기는 표면장력을 ... ...
연금술을 발명한 신 헤르메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하고 있기는 하나 엄연한 금속을 그렇게 부를 수도 없어서 고민했을 법합니다. 우리도 ‘
수은
’이라고 부르고 있잖아요? ‘액체 상태의 은’이라는 뜻입니다.이 이름 붙이기 까다로운 것에 붙여진 이름이 ‘메르쿠리우스’(Mercurius)입니다. 영어로는 ‘머큐리’(Mercury)라고 하지요. 메르쿠리우스는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그런데 놀랍게도 4.2K에서 저항이 아예 사라지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오네스가 발견한
수은
의 초전도 현상이다. 이 업적으로 그는 1913년 노벨상을 수상했다.이처럼 20세기 초반에 등장한 초전도 현상은 과학자들에게 매력적인 주제가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전기저항이 0이라는 전기적 성질만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