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416건 검색되었습니다.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낭장망이란 그물을 사용해 대량으로 잡는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곳에서 주꾸미의 산란
습성
을 이용한 전통적인 어업 방식이 성행한다. 흔히 ‘소라방’이라고 불리는 통발 어업 방식이다.소라 껍질(실제로는 피뿔고둥의 껍질) 여러 개를 끈으로 묶어 놓은 도구를 통발로 삼아 주꾸미를 잡는다. 미리 ... ...
서해서 큰소리치는 조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소리를 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어군탐지기가 없던 시절, 어부들은 민어과 물고기의 이런
습성
을 고기잡이에 활용했다. 물속에 마디를 튼 대나무를 집어넣고 귀를 대어 조기떼의 위치와 이동방향을 알아낸 다음 그 길목에 그물을 내렸던 것이다.조구만도 못한 놈조기는 해마다 정확한 시기에 그 ... ...
동물원의 동물이 야생으로 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수 있는 도르래를 이용해 높은 곳에 먹이통을 설치했어. 또한 혀를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습성
을 고려해 그물망에 건초를 넣은 뒤, 구멍 사이로 먹이를 빼먹을 수 있게 했단다. 천둥과 비까지 야생처럼!미국 샌디에고 동물원의 조류 전시실은 야생과 거의 흡사해. 폭포와 이국의 식물을 이용해 ... ...
점박이물범, 갯벌, 야생조류로 되살아나는 황해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2004년 점박이물범 보호활동을 시작한 녹색연합은 그동안 물범의 서식 환경과 생태
습성
을 조사하는 모니터링을 해왔으며 점박이물범 보호를 위해 한·중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물범 보호에 앞장서왔다.하지만 정작 점박이물범과 함께 살아가는 백령도 주민들은 물범에 대해 무관심했다. ... ...
겨울 별미로 거듭난 꽁치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빽빽한 그물코에 머리를 박고 걸려든다.동해 북부나 울릉도 해역에서는 꽁치의 산란
습성
을 이용한 독특한 어업 방식이 전해온다. 해마다 5~6월경이면 산란기를 맞은 꽁치가 동해 연안으로 몰려든다. 이때 어부들은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모자반이라는 해조류를 밧줄이나 막대에 묶어 수면 ... ...
버릴 곳 없는 국민생선 명태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말이 있을 정도로 명태의 어획량은 대단했다. 개체 수도 많은데다 떼를 지어 모여 다니는
습성
탓에 한꺼번에 대량으로 어획하는 것도 가능했다.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강원 고성군 거진항. 쿠릴해류와 북한 해류가 만나는 천혜의 어장이었던 이곳에서도 명태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1970, ... ...
개과천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개는 본능적으로 서열을 정하지만 서열이 정해지면 우두머리에게 복종하는
습성
도 있다. 그래서 서열을 바로잡으면 개의 문제 행동 중 많은 부분을 고칠 수 있다. 우선 밥상이나 식탁에서 개와 같이 밥을 먹거나 잠자리를 같이 하는 일을 삼가야 한다. 신 교수는 “반드시 주인이 음식을 먹은 뒤 ... ...
2009년 기축년(己丑年), 소를 생각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잔치 때나 맛보는 별미였다.해가 바뀔 때마다 십이지 동물 가운데 해당하는 종의
습성
을 소개하고 미덕을 칭송하곤 한다. 그런데 왠지 이번 소띠 해에는 지구를 누비고 있는 10억 마리 소들의 발굽소리가 마음을 서늘하게 한다. 도롱뇽을 살리겠다고 철도를 가로막을 정도로 환경문제에 민감한 ... ...
살아 숨쉬는 자연의 보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고라니뭐가 저렇게 고라니를 깜짝 놀라게 했을까요? 고라니는 토끼처럼 폴짝 뛰는
습성
이 있답니다. 안타깝게도 찻길을 건너다 교통사고를 가장 많이 당하는 동물이기도 해요 ... ...
내 공룡 친구는 어디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뼈도 아닌 발자국이 공룡을 아는 데 왜 중요할까? 뼈 화석만 가지고는 공룡이 어떤 생활
습성
을 가졌는지 추적하기 힘들어. 대신 발자국, 알, 똥 등 생활하면서 남긴 다양한 흔적들은 공룡이 어디서 누구와 함께 무얼 하며 살았는지 말해 준단다. 발자국처럼 생물의 흔적이 화석이 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