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식물
사연] 열대 숲 속의 샹들리에 산호히비스커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100’ ‘
식물
: 대백과사전’ ‘가드닝: 정원의 역사’ 등을 번역했다. (※이달의
식물
사연은 이번호를 끝으로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지켜봐 주신 독자들께 감사드립니다. ... ...
개나리데이 결과보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지구사랑탐사대 10기 대원들의 첫 공식 활동, 개나리데이 미션이 3월 19일부터 29일까지 이루어졌어요. 대원들은 개나리의 개화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관찰해 총 708건의 기록을 남겨주었지요. 이를 통해 지역마다 꽃이 핀 시기가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답니다. 전국 방방곡곡 핀 개 ... ...
[특집] 꿀벌은 사라지고, 식량은 부족해지고….
식물
계절이 달라지면 무슨 일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있다”고 말했지요. 하지만 “
식물
들의 겨울 휴면 시간이 줄어들고 이에 적응하지 못한
식물
이 절멸하면 생물 다양성이 감소해 긍정적으로 보긴 어렵다”고 덧붙였습니다 ... ...
[만화 뉴스]
식물
세포벽으로 아이스크림의 얼음 결정을 작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합성물질인 기존의 안정제 대신 자연에서 비슷한 성질의 물질을 찾았어요. 바로
식물
의 세포벽을 이루는 ‘셀룰로오스’였지요. 연구팀이 아이스크림에 셀룰로오스를 넣었더니 얼음 결정이 뭉치지 않고 커지지도 않았어요. 우 교수는 “장기를 오랫동안 보존하는 데에도 셀룰로오스를 사용할 수 ... ...
[어덕행덕] 개미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화분이 시들할 때 누구를 찾으실 건가요. 당연히 덕후입니다. 컴덕(컴퓨터 덕후)과 식덕(
식물
덕후)이 기다렸다는 듯이 문제를 해결해 줄 겁니다. 그러니까 오타쿠, 덕후란 호칭은 박사나 석사 같은 어떤 학위로 여겨도 좋겠습니다.각 분야의 덕력이 높은 덕후를 만나 덕질 이야기를 나누는 연재를 ... ...
[특집] 위성과 드론, 시민들까지 출동!
식물
계절 연구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과거에도 사람들은 농사를 위해 계절에 따른
식물
의 변화를 기록했어요. 최근
식물
계절이 기후변화의 핵심 지표로 주목받자 과학자들은 위성과 드론까지 동원해 연구하고 있죠. 그 ... 수 있는 통합적인 플랫폼이 마련되면 참여가 쉬워질 것”이라고 강조했답니다.
식물
계절 연구의 ... ...
플라스틱 다이어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기자 플라스틱 우유병으로 만든 화분플라스틱 우유병으로 화분을 만들었어요.
식물
을 심고 길에서 주운 나뭇가지로 장식도 한 뒤, 통에 그림도 그려서 멋진 화분을 완성했답니다. 줍깅탐사전재현 기자줍깅 탐사 도전!어과동을 보고 주말에 줍깅 탐사에 도전했어요. 이렇게 많은 쓰레기가 ... ...
[지구를 위한 아름다움]만들 때부터 자연에 덜 미안하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살리려고 뿌리는 흙을 말한다. 화장품 공장에서 나온 오니는 주로 유기성 오니류라
식물
이 자라는 데 필요한 유기물이 될 수 있다. 화장품 회사가 왜 이렇게까지 ‘왜 이렇게까지…’에 대한 답을 구하려 7월 11일 아로마티카 본사를 찾았다. 그곳에서 만난 김영균 아로마티카 대표는 “내 가족이 ... ...
쥬라기 월드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흔히 공룡이라 하면, 화산 근처의 숲에서 포효하고 있는 모습이 떠오른다. 배경엔 관엽
식물
이 빽빽해 습하고 더운 기후일 것 같다. 수억 년 전 지구에 살던 공룡들이 시간을 거슬러 우리가 사는 세상에 돌연 등장한다면, 공룡은 잘 지낼 수 있을까.공룡이 번성했던 쥐라기와 백악기는 현재보다 더 ... ...
[가상 인터뷰] 세균을 위한 초호화 집, 전기에너지 생산을 돕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자기소개를 부탁해!저는 햇빛을 좋아하는 세균이에요. 이름은 ‘남세균’이죠. 저는
식물
처럼 햇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영양분을 만드는 광합성을 해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화학과 제니 장 연구원팀은 3월 7일 남세균에게 전기를 만들기 위한 ‘나노 초고층 건물’을 만들어줬어요. 너희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