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비로움"(으)로 총 1,0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과학동아 l2010년 12호
- 열대바다체험단으로 선발된 친구들이 인천공항에 속속 모였다. 한창 늦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체험단을 선발했는데 어느덧 낙엽이 지고 쌀쌀해졌다. 아직은 서로의 얼굴이 낯설고 서먹서먹하다. 조심스레 말을 걸어보니 다들 이번 체험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한다. 제주도, 대구, 대전, 서울 등 전국 ... ...
- 대칭으로 풀어낸 분자 나라의 신비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여기가 어디지? 꿈인 걸까?” 정신을 차리고 보니 소피아는 낯선 곳에 있었어. 그리고 소피아 앞에는 독특한 모양으로 생긴 친구들이 말을 걸었어. “소피아~! 여기는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작은 세상, 분자들의 나라야. 우리가 ‘지혜의 요정’ 널 이곳에 오게 했어. 지금 분자 나라는 아주 ... ...
- 1 보이지 않는 세계를 대칭으로 생각하다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렇게 작은 분자들이 말하는 나라가 있다니! 소피아는 믿을 수가 없었어. 보이지 않는 세계에도 신기한 모양이 가득하지 뭐야. 놀라움에 두 눈이 휘둥그레진 소피아에게 두 개의 분자가 다가와 말을 걸었어. 소피아는 조금 떨렸지만 조심스럽게 귀를 기울였지.“소피아, 나는 사람들에게 가장 필요 ... ...
- 5 분자를 정리하는 수학 아이디어, 군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이렇게 분자의 모양을 이용해 분자 나라를 잘 정리할 수 있었던 건 수학의 아이디어가 있었기 때문이야. 조금은 어렵고 생소하겠지만 너희들에게 ‘군(group)’이라고 부르는 수학 개념을 소개하려고 해. 함께 보자고~”군이 뭘까?수학에도 여러 가지 분야가 있어. 도형을 다루는 기하학, 함수를 분 ... ...
- 3 돌리고, 돌리고~ 대칭요소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소피아가 이야기를 마치자 분자들은 자신에게 어떤 대칭이 있는지 궁금해 했어. 그런데 갑자기 물 분자가 억울한 표정을 지으며 소피아에게 다가와 물었지.“물론이야! 너에게도 대칭요소가 있어. 다만 이산화탄소보다 대칭요소가 적을 뿐이지. 이산화탄소는 탄소가중앙에 있고 양쪽 끝에 산소가 ...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수학동아 l2010년 12호
- 분자의 약수를 찾아라이를 닦을 때 입 안에 화한 느낌이 나는 건 치약에 들어 있는 ‘멘톨’이라는 성분 때문이다. 멘톨은 탄소 10개로 이뤄진 분자다. 계피를 우려낸 물에 곶감을 넣고 잣을 띄워 먹는 겨울철 별미 수정과가 제 맛을 내려면 생강이 꼭 들어가야 한다. 생강 특유의 시원하면서도 매운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먹기 위해 사는 게 아니라 살기 위해 먹는다’는 말도 있지만 모든 사람이 그렇게 고상한 존재는 아니다. 얼마 전 제대한 가수 토니 안이 한 TV 프로그램에 나와 입대하기 전 수년 동안 항우울제를 복용했다고 고백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이때 그는 뭘 먹어도 맛있는 줄 몰랐고 그저 배를 채우기 ...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초등학교 시절, 청색 종이 위에 나뭇잎을 올려놓고 햇빛에 놓으면 한참 지난 뒤 햇빛을 받은 부위만 더 파랗게 색이 변하는 청사진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청사진은 사진을 만드는 가장 오래된 방법이다. 청사진은 철(Ⅲ)염의 감광성을 이용하는 사진법으로 시아노타이프(cyanotype)라고도 한다. 1842년 ... ...
- 꼭 의사가 되고 싶다면?과학동아 l2010년 11호
- 사례 1 의대에 가고 싶지만 현실은… S시 W중 3학년 S학생 “의사가 돼서 아픈 사람들을 돕고 싶어요.” “왜 그런 생각을 하게 됐지? 계기가 뭐였니?” “음…….” 초등학생 때부터 의사가 되고 싶었다던 S학생. 그러나 좀더 깊이 물으니 선뜻 대답이 안나온다. 꿈을 물으면 이과생 10명중 예닐곱명 ...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언제까지나 한결 같은 모습으로 빛날 것만 같은 하늘의 별도 실제로는 사람처럼 태어나서 자라고 노화해 사라진다. 노년기 별이 죽음을 맞이하는 과정을 명확하게 밝힌 사람이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인 1910년 10월 19일에 태어났다. 바로 인도 출신의 천문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Subrahmanyan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