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패"(으)로 총 1,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새삼 깨달았다. 성실하게 연구 과정을 진행했지만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을 경우 ‘성실실패’로 인정해 모험적 연구를 계속할 수 있게 보호한다는 말들이 실로 공허함을 다시 한번 느꼈다. 나로호 발사를 끝내 성공시키겠다는 목표가 없었다면 결코 버틸 수 없었을, 어둡고 긴 터널의 시간이었다 ... ...
- [인포그래픽]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화성 탐사 시도지금까지 45번의 화성 탐사 시도 중 19번만이 완전 성공했다. 대부분의 실패는 화성 탐사가 시작된 1960년대에 나왔다. 이번에 발사한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말’은 아직 화성에 도착하지 않아 성공으로 간주하지 않았다. ●로버별 화성 주행 거리초기 화성 탐사 로버인 ‘소저너’는 ... ...
- UAE┃INTERVIEW 옴란 샤라프 EMM 총괄 디렉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준비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만에 하나 발사나 탐사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해 실패한다고 하더라도 화성 탐사선을 개발하고 발사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우리의 경험은 남을 것이다. 또 화성 탐사선 발사가 UAE 전체에 미칠 영향도 클 것이다. UAE 화성 탐사의 장기적인 목표는 무엇인가?처음 UAE ... ...
- UAE┃‘희망’을 쐈다! 달 건너뛰고 화성으로 직행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제공하고 있다. 이번 발사를 포함해 총 42차례 발사된 H2A 로켓은 2004년 단 한 차례의 실패 이외에는 모두 성공했다.첫 화성 탐사에 나서는 UAE는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미국 콜로라도대 대기우주물리학연구소, 애리조나주립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등과의 협력을 택했다. UAE 우주청이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인챈트를 시도할 경우 정해진 확률에 따라 아이템이 증발할 수도 있어. 만약 인챈트 실패 확률이 20%라면, 10번을 시도했을 때 2번은 무기가 사라질 수 있지. 유저에게는 너무 가슴 아픈 일이지만, 개발자는 일정한 확률로 아이템을 수거할 수 있으니 머드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지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휴면 상태로 접어든다는 가설도 세워봤지만 결국 증명하지 못했다. 나중에 밝혀진 실패 원인은 HPV가 워낙 여러 종류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바이러스였기 때문이었다. 참고로 지금까지 밝혀진 HPV의 종류는 130여 가지다. 1979년 추어하우젠이 이끄는 연구팀은 HPV 6형과 11형의 DNA를 확인했다. 그리고 198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마찬가지로 티미딘과 구조가 유사해 1960년대 항암제로 개발됐으나 임상시험에서 실패한 약물인 스타부딘에 주목했다. 프루소프가 스타부딘을 재합성해 HIV에 처리한 결과, HIV는 정상적으로 DNA를 합성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짧은 DNA를 만들어내며 증식이 억제됐다. 스타부딘은 1994년 에이즈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대한민국을 깡타한 '나 비 효과' 역주행의 신화, 깡수학동아 l2020년 07호
- 7년 12월에 발매한 가수 비의 미니앨범 ‘MY LIFE愛’의 타이틀곡이다. 당시 깡은 이른바 ‘실패한 노래’였다. 모든 음원 차트에서 ‘탑 100’에 들지 못했고 음악적으로도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받았으며 음원, 뮤비 모두 반등하지 못한 채 빠르게 잊혔기 때문이다. 그런데 2020년에 갑자기 깡이 다시 ... ...
- 바이러스는 생물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만약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생물학 무기라면 아군 희생자를 대거 발생시킨, 완벽하게 실패한 생물학 무기인 셈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생물학 무기로 부적합한 또 하나의 이유는 만들기도 어렵고, 살상 능력도 떨어진다는 점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현재까지 대량 배양이 어렵고,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 접종으로 감염률이 줄긴 했지만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고 결국 실패로 결론 났다. 동물의 체내에서 배양된 바이러스의 한계를 깨달은 과학자들은 시험관에서 바이러스 배양에 도전했다.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세균)와 달리 인공적으로 번식시킬 수 없었다. 오직 살아있는 세포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