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발사하는 꿀팁 영상도 확인해 봐~! 게코 도마뱀은 벽을 기어오르는 건 물론 천장
위
를 거꾸로 매달려 기어다닐 수도 있습니다. 발에 나 있는 털인 강모 끝부분에 달린 미세한 주걱 덕분에 아주 작은 힘만 사용해도 찰싹 달라붙을 수 있지요. 연구자들은 게코 도마뱀의 이런 특징을 이용해 접착력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3호
데워서 빛의 속도를 알아내자!섭섭박사님은 음료를 마시고 초콜릿 컵을 식탁
위
에 올려놓았어요. 초콜릿을 한참 동안 바라보더니, 이번엔 초콜릿으로 빛의 속도를 구해보겠다고 했지요.➊전자레인지의 주파수를 확인한다.➋전자레인지 바닥의 회전 원판을 뺀다.➌쟁반이나 접시에 초콜릿을 담아 ... ...
[꿀꺽! 수학 한 입] 마법의 힘으로 분수를 모아보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13호
수를 나타내는 그림
위
에 입 모양을 그렸어. 예를 들어 숫자 3을 나타내는 작대기 3개
위
에 입 모양이 있으면 1/3인 거야. 입 모양 그림이 지금의 분수에 있는 선분과 같은 역할을 한 거지. 그런데, 왜 ‘분자’를 나타내는 그림은 없었을까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버섯의 여왕에겐 고약한 냄새가 난다? 말뚝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비롯한 곤충들을 유인하기
위
해서에요. 고약한 냄새를 맡은 곤충들은 그 즉시 버섯
위
에 앉아 점액질을 정신없이 빨아 먹습니다. 이 과정에서 말뚝버섯류의 포자가 곤충의 몸에 묻거나 뱃속으로 들어갑니다. 말뚝버섯류의 점액질엔 설사약 같은 효과가 있어 곤충이 포자를 완전히 소화시키기 전에 ... ...
심해의 돌 속엔 배터리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포함된 물질을 모은 다음, 파이프를 통해 수면
위
의 선박으로 끌어올려요. 그리고 배
위
에서 광석을 잘게 쪼개 광석 광물에서 금속 광물을 분리한 후, 남은 물질을 바다로 다시 되돌려 보내지요. 그런데 과학자들은 다시 바다로 되돌려 보내는 물질이 해양 환경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 ...
[현장취재] 공원에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 2023 기자 커뮤니티 데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어린이 기자들은 1시간 동안 쪽지를 찾기
위
해 분주히 뛰어다녔습니다. 노란색 꽃
위
에 놓인 쪽지를 발견한 장시우 어린이 기자는 기쁨의 함성을 질렀어요. 게임이 끝날 때쯤 가까스로 찾은 쪽지였지요. 그네 통나무의 틈에서 쪽지를 발견한 이한울 기자도 한껏 들뜬 표정이었어요. 쪽지를 금방 ... ...
[통합과학 교과서] 더
위
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2호
70여 년간 단 두 차례만 발생할 정도로 매우 이례적인 일이었답니다. 기후 재앙을 막기
위
해서는 지구 온도가 산업화 이전 보다 1.5℃ 이상 오르지 않도록 막아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의 온난화 추세라면 5년 안에 이 한계선을 돌파할 거라는 경고가 나오고 있지요.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이변의 빈도를 ... ...
무작
위
하지 않다는 증거
수학동아
l
2023년 12호
여기까지는 의심 정도였지만, 21세기에 들어서는 동전 던지기가 무작
위
하지 않다는 구체적인 증거가 속속들이 나오고 있다. 대표적으로 퍼시 디아코니스 미국 ... 모두 동전을 던질 때 초기 조건만 알면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는 의미로, 동전 던지기가 무작
위
하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접종했다면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이 좀 더 특별하게 느껴질 것이다. 10월 2일, 노벨
위
원회는 커리코 커털린 독일 바이오엔테크 부사장과 드루 와이스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의대 교수를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코로나19 mRNA(메신저 RNA) 백신 개발을 가능케 한 공로를 인정한 것이다. mRNA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3년 12호
잘 보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실제로 신 교수는 이런 코팅 기술을 개발하기
위
해 음모뿐만 아니라 양털 등 다양한 동물의 털을 분석하고 있다. 흥미로운 취재를 마쳐갈 즈음 신 교수는 논문 게재에 얽힌 뒷이야기를 털어놨다. 사실 이번 음모 논문이 세상에 발표되기까지는 긴 시간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