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작
집필
쓰기
작문
저서
작성
작품
d라이브러리
"
저술
"(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곧프레이 하디의 어느 수학자의 변명(A Mathematician's Apology)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중 한 사람인 곧프레이 하디가 말년에 자신의 수학적 창조력이 쇠퇴해감을 느끼면서
저술
한 회고록 성격의 책이다. 따라서 독자들은 스스로 창조성을 상실했다고 고백하는 대수학자의 독백을 접하면서 약간은 서글픈 심정으로 이 책을 읽게 될 것이다. 1940년 초판이 출간됐으며, 물리학자겸 ... ...
토마스 쿤의 과학혁명의 구조(The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s)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및 과학철학 분야의 교수직을 맡았다.'과학혁명의 구조'이외에도, 1957년에는 그의 최초의
저술
인 '코페르니쿠스 혁명'을, 1977년에는 논문집 성격의 '본질적 긴장'을, 1978년에는 보다 전문가를 위한 '흑체이론과 양자불연속'등을 발표했다. 그리고 공저로는 197년 '양자물리학사 자료집'등이 있다.본래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많은 조사연구를 했지만 중단하고 있던 살충제 사용의 실태와 그 위험성을 알리는 책을
저술
하기로 굳게 결심한다.카슨 여사는 1958년부터 1962년까지 대부분의 시간을 '침묵의 봄'을 위한 자료조사와 집필활동으로 보냈다. 이 책은 평화롭고 아름다운 한 시골 마을이 어느 날부터 갑자기 원인 모를 ... ...
콘택트(Contact)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원작은 바로 세이건이 일찍이 1985년에 발표한 장편 SF소설 '콘택트'다.저명한 대중과학
저술
가였던 세이건은 자신이 직접 SF소설을 쓰기 전부터 이 분야에 적지 않은 관심을 가져왔다. 그가 1979년에 낸 대중과학서인 '브로카의 두뇌'에는 '과학소설: 개인적인 견해'라는 독립된 글이 실렸으며 대표작인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감성 본령에 가장 근접하게 다가선 작가라 할 수 있다.클라크는 SF작가 못지 않게 과학
저술
가이자 미래학자로도 명성이 높다. 특히 보수적인 과학자들이 편견에 사로잡혀 새로운 이론에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내는 것을 신랄하게 비판해왔다.'2001 우주 오디세이'는 1968년에 영화와 책으로 대중들에게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서운관의 최고 책임자인 서운관영사를 맡아 조선의 천문학연구를 관장하기도 했다.
저술
로는 ‘구수략’(九數略) ‘예기류편’(禮記類編)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구수략’은 그의 수리철학사상이 집약된 특이하고 귀중한 문헌이다. 그가 남긴 글들을 모아 후손이 정리한 문집으로 ‘명곡집’ ... ...
우리나라 최초의 과학의 날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게재한 ‘과학의 민중화’라는 글에서 “우리 조선과학계도 각 전문 대가가 통속(대중)
저술
에 힘쓰고 통속강연회를 개최하는 동시에 통속과학잡지가 있어야 그 전도가 점차 발전될 것”이라며 과학대중화의 중요성을 역설했다.1934년 2월 28일 발명학회 인사들을 중심으로 31명의 사회 저명인사들은 ... ...
히틀러와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과학조차도. 1933년 그는 도서관과 대학 연구실 등에서 압수한 1만여권이 넘는 유대인들이
저술
한 책을 베를린 오페라광장에서 불살랐다. 이 안에는 아인슈타인이 쓴 책들도 들어있었다. 유대인이라면 20세기 최고의 과학자인 아인슈타인조차도 인정치 않았던 것이다.독일을 떠나는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가장 대표적인 명작으로 꼽힌다. 그가 젊은 나이에 이렇게 독창적이고 중요한
저술
을 할 수 있었던 배경도 일찍부터 섭렵해왔던 서양과학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최한기는 서양의 근대적인 물리학을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이해하고 다시 소개한 사람으로 과학사에서 주목을 끈다. 그는 초기 ... ...
신화속의 태양계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맺어졌다. 그리고 이름은 바다의 신인 넵투누스를 따라 넵튠으로 정해졌는데, 과학
저술
가인 아시모프는 녹색빛이 감돈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고 말했다. 지금도 해왕성은 ‘청록색의 진주’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전쟁의 신 화성1997년 미국의 화성탐사선 패스파인더가 화성땅에 도착한 곳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