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수
본질
핵심
요점
근본
실체
괸 물
d라이브러리
"
정수
"(으)로 총 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노화를 막을 방법은 없다!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분열하는 세포로 이뤄졌지요. 두 종류의 세포는 서로 수를 많게 하려는 경쟁을 펼쳐요.
정수
남매: 조아나 메이셀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교수팀은 두 세포의 경쟁능력을 나타내는 함수와 세포 간 경쟁이 생명력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함수로 생물의 노화 수준을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선택을 바꾸면 확률은 2/3로 커져요. 그래서 흔히 ‘몬티 홀 딜레마’라고 부릅니다.
정수
남매: 아하! 하지만 확률일 뿐이니까 바꾼다고 무조건 당첨되는 건 아니네요! 아저씨처럼요. 저승에서도 재밌는 문제를 많이 만들어 주세요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영국 수학자 튜링은 미국 안티?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작성했어요. 튜링에겐 정말 끔찍한 나날이었겠죠? 그래도 그렇지! 미국이 싫다니….
정수
남매: 아, 그런 사연이 있었군요. 기술을 알려주러 갔다가 고생만 한 거네요. 그래도 튜링이 힘들게 암호를 푼 덕택에 전쟁에서 이기고, 컴퓨터도 발명한 거잖아요. 정 편지가 마음에 안 들면 제게 파실래요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
수학동아
l
2017년 10호
진동수를 갖는 사인함수가 여러 개 더해진 모습이 된다. 어떤 음을 내면 원음뿐만 아니라
정수
배의 진동수를 가진 배음도 여럿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형에서 원음과 배음을 분리해 내야 한다. 푸리에 변환을 쓰면 각각의 함수가 진동수로 분해돼 주위보다 높은 값(피크)을 알 수 있다. 이것이 ... ...
[
정수
남매의 가상인터뷰] 알고 보면 느림보, 티라노사우루스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속도는 시속 27km라는 걸 알아냈어요. 따라서 시속 32km로 달릴 수 있는 내가 이긴단 말씀!
정수
남매: 힘내세요, 티라노사우루스 선수! 그래도 보통 사람의 평균 속도인 시속 24km보다는 빠르니까요 ... ...
Part 2. 5人 5色 인터뷰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순수하게 중력만으로 물이 필터를 통과하게 하는 기술이다. 펌프로 압력을 가하는 기존
정수
기 방식과 비교해 오염입자가 필터의 미세한 구멍을 덜 막기 때문에, 고가의 필터를 자주 갈아 끼울 수 없는 개발도상국 주민들에게 안성맞춤이다. "주변 사람들이 흙을 퍼 날라야 하는 하수처리 연구는 ... ...
Part 1. 택시가 낸 수학 문제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모아 수열 사전을 만들기도 했어요. 단순히 재미로 한다고 하지만, 이런 활동이 모두
정수
의 성질을 밝히는 활동이니 나름의 새로운 규칙을 찾아보는 것도 좋을 거예요. 혹시 알아요? 나중에 엄청난 연구로 이어질 수도 있어요. MC 유: 박사님들 말씀을 들으니 주변에 있는 숫자가 전부 수학 ... ...
[과학뉴스] 타조 닮은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위 상상도). 코리토랍토르는
정수
리에 볏이 달렸다는 뜻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정수
리 위에는 볏이 달려 있었을 것으로 추정됐다. 이런 생김새는 오비랍토르 중에서도 특이한 편에 속해서, 이 연구 결과는 오비랍토르에 훨씬 다양한 공룡이 속한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수자원 관리를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은 김연태 씨는 졸업 뒤 첫 아이를 키우며
정수
기를 만드는 민간기업에서 6년간 일했다. 그러나 건강이 나빠져 그만둘 수밖에 없었고, 둘째 아이까지 낳고 난 뒤에는 복직을 생각할 겨를도 없이 육아에 전념해야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박사학위 지도교수였던 ... ...
본 色(색)을 드러내다
수학동아
l
2017년 08호
이를 위해서는 8비트에서 코딩할 때 쓰던 ‘
정수
’가 아닌 ‘실수’를 써야 했어요.
정수
보다 실수가 훨씬 촘촘하기 때문에 세밀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색채과학자는 ‘부동소수점’이라는 개념을 썼어요. 이는 소수점이 있는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컴퓨터에서 코딩할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