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화합
균형
적응
질서
순응
순화
d라이브러리
"
조화
"(으)로 총 7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반짝 빛나라! 조명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3호
치료하는 병원이나 자연광의 느낌이 필요한 전시회 등에서 이용되고 있어. 조명,
조화
를 꿈꾸다와~, 그저 인공 빛인 줄만 알았던 조명의 노력이 정말 대단해. 네 말을 들으니 조명의 앞날은 정말 밝은 것 같아.응. 하지만 밝은 부분이 있으면 어두운 부분도 있는 법! 조명의 세계에도 걱정거리가 있어 ... ...
한글의 DNA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시대입니다. 그래서 영어 같은 다른 언어를 어떻게 한글로 표기하고, 한글과 어떻게 잘
조화
되게 쓸 것인지도 연구해야 하지요. 구두점이나 쉼표 등 한글과 함께 쓰는 특수문자들의 용법도 정리해야 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도 한글이 잘 쓰일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 주세요 ... ...
천상의 소리 대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卷第二) 기이(奇異)편 ‘만파식적 ’중에서사람의 마음을 움직일 뿐 아니라 천지만물의
조화
를 다스리는 천상의 악기. 이렇게 ‘삼국유사’에 묘사된 만파식적은 대금의 한 종류로 추측된다. 대금과 관련된 기록은 ‘삼국사기’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우리말로 ‘젓대’라고 부르는 대금은 ... ...
무선전력 송신의 꿈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물체가 많다. 줄에 돌을 매달아 놓은 진자(또는 그네)도 움직이는 각도가 작으면 단순
조화
운동을 한다. 이때 길이가 l인 줄의 각진동수(w)는 √g/l이며 g는 중력가속도(9.8m/s2)이다. 다른 예로 고체를 살펴보면 고체 안의 원자핵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해 있고, 그 주위에 많은 전자가 전기적인 힘으로 ... ...
지적 재산의 보호와 공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불가능하다. ■생각 거리 1 >> 지적재산권을 보호하려는 노력과 공유하려는 노력이
조화
를 이룰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자. ■생각 거리 2 >> 현행 특허제도에서는 특허에 대한 모든 권리를 발명자가 아니라 특허권자(출원인)에게 주고 있으며 특허권은 양도할 수 있다. 만약 특허권을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높이자고 천연물 추출액을 무작정 넣을 수는 없습니다. 자체 향취가 강해져 맛의
조화
가 깨지니까요.” 결국 순수하게 감칠맛만 높여주는 MSG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셈이다.건너편 실험대에서는 우현화 책임연구원이 발사믹 드레싱을 만들고 있다. 물과 기름을 섞는 ... ...
마술 같은 맛 그려내는 식품첨가물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내는 게 간단한 것 같지만 상당히 까다로운 작업입니다. 단맛, 짠맛, 신맛이 적절하게
조화
가 돼야 ‘맛있다’고 느껴지는데 이게 쉽지 않아요. 그런데 MSG를 조금 넣으면 마술처럼 근사한 맛이 나오죠.”1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식품업계는 물론 식당과 가정에서도 MSG는 약방의 감초 이상으로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달의 위상 변화를 주기로 하는 순태음력과 계절 변화를 주기로 하는 태양력을
조화
시키기 위해 19년(율리우스력) 동안 윤달을 고르게 배치하는 방법을 사용해 오늘날 음력에 해당하는 태음태양력을 만들었다. 이 방법으로 쌍춘년이 얼마나 자주 오는지 계산 과정과 함께 보여라.2) 율리우스력과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찍은 사진. 배율 2300배. 저마다 다른 털곰팡이 포자들이 한데 어우러져
조화
를 이룬 듯하다.달팽이입선·일반부 | 윤철종·세포형태연구소달팽이가 머리를 쭉 뻗어 어디론가 가고 있는 듯하다. 사람의 혈액에서 백혈구를 분리해 절편으로 만들고 염색한 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찍은 사진. 배율 5000배 ... ...
과일 맛 결정하는 ‘황금비’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한 스푼 가득 떠먹었을 때 맛있다고 느끼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다. 단맛과 신맛이 적당히
조화
를 이뤄야 좋은 맛을 낸다. 이런 황금비율을 당산비(당함량/산함량)라 한다. 사과의 경우 가장 달다고 느끼는 종은 당산비가 41 이상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사과인 후지는 당산비가 36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