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빅데이터”라며 “생물정보학은 컴퓨터의 도움 없이는 돌아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직접 유전 물질을 만지는 모습을 상상했다면 아쉽지만, 주로 하는 일도 유전체 분석 프로그래밍으로 거의 모니터만 들여다본다고 했다. 이 연구원이 서열 분석의 장애물로 언급한 반복 서열은 말그대로 특정 ... ...
- [르포] 달을 향한 열망과 비전이 넘치는 곳 아제르바이잔 국제우주대회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과학동아, YTN 사이언스 등 다양한 채널로 과학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과학 현장에 직접 가서 콘텐츠를 제작하는 유튜브 과학 채널 ‘지식인 미나니’를 운영 중이다. 최근엔 과학 만화책 ‘요즘 과학’, GPT-3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책 ‘인공지능이 알려주는 2023년 트렌드’도 펴냈다. skddl0514@gmail ... ...
- [기획] 실패? 다시 일어나면 성공이니까요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아한데요. 실패를 성공적으로 다루겠다는 KAIST의 비결을 캐기 위해 과학동아가 직접 찾아가 봤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실패? 다시 일어나면 성공이니까요 KAIST 학생들의 실패라고 더 멋진 건 아니었다 실패 이야기의 효능: 위로, 용기, 또는 재미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 ...
- [최신 이슈] 태우는 게 최선일까? 지구 오염시키는 우주 쓰레기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쌓여왔다. 지구 궤도에 쌓인 우주 쓰레기는 운행 중인 인공위성의 전파를 간섭하거나 직접적인 손상을 입히기도 한다. “우주 쓰레기는 실생활에도 큰 문제를 일으키죠.” 정유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선임연구원은 우주 쓰레기가 우주만의 문제가 아닌 이유를 이같이 ... ...
- [커리어] 우주의 본질을 밝히는 IBS 지하실험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암흑에너지를 이해하는 것이 필수다. IBS 지하실험 연구단은 중입자(윔프・WIMP)의 존재를 직접 검증하기 위해 1000m 아래에서 실험을 진행한다. 웜프는 암흑물질의 가장 유력한 후보 중 하나다. 수천 m 고요 속에 검출기를 설치하고 우주에서 날아온 윔프가 여기에 부딪히는 시그널을 탐색하고 있다 ... ...
- [최애은하] 제임스 웹 설상가상 미스터리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지리라고 봤다. 그런데 실제로는 정반대 상황이 벌어졌다. 은하를 직접 관측한 첫 번째 방법과 우주배경복사로 추정한 두 번째 방법, 두 결과 간의 차이는 점점 더 선명하게 벌어지고 있다. 이것이 바로 하나의 우주를 두고 두 가지 값이 팽팽하게 줄다리기하는 허블 텐션의 ... ...
- [논문탐독] 미래의 공항에도 관제탑이 존재할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중앙의 존재를 걷어내고, 시스템을 이루는 각각의 하위 개체들이 자신의 행동을 직접 판단하는 방식입니다. 관제탑은 사라지고 각 비행기가 알아서 비행하죠. 분산형의 장점은 시스템이 커져도 각 개체들이 자신의 상황을 해결하는 덕분에, 전체 시스템의 연산 부담도 분산된다는 것입니다. 만약 ... ...
- [이달의 책] 마리 퀴리가 쏘아올린 현대 과학의 작은 원소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않다. ‘세상에서 가장 쉬운 과학 수업: 방사선과 원소’는 이 논문들의 정수를 독자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정교수와 화학양의 대화 형식으로 풀어냈다. 수식이 필요한 어려운 부분도 고등학교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서술하는 점도 인상적이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더위를 피하려던 임금님, 사기 당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평소 믿었던 신하도 보냈지만, 옷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전달받았어요. 하지만 재단사를 직접 찾아가 확인해 보니, 그의 눈엔 아무것도 보이지 않았죠. 임금은 사람들이 자신을 멍청이라고 손가락질할 것이 두려워 아름다운 옷이라고 극찬하며 오늘, 그 옷을 입는 행세를 하고 거리 행차를 나간 ... ...
- 세계적인 물리학자와의 대화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바쁜 내한 일정 가운데 10월 24일 POSTECH 내부에 위치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직접 만나 1시간 가량 대화를 나눴습니다. Q. 이휘소상 수상을 축하드려요. 이휘소상을 받아서 영광이에요. 대학원생이었던 1973년 당시 대부분의 물리학과 학생이 이휘소 박사의 논문을 읽었던 것으로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