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학"(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물리학상] 외계행성 발견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의 20분의 1 정도에 불과했어요. 그들의 발표 이후 다른 천문학자들도 기존의 데이터를 다시 분석해 큰곰자리 47b, 처녀자리 70b 등의 외계행성을 연이어 발견했지요. 한국천문연구원 이충욱 박사는 “두 연구자의 발견 이후 외계행성 분야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며,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찾는다는 뉴스를 본 적이 있나요? 지구처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행성을 찾을 때, 천문학자들은 행성을 감싸는 대기가 충분한지를 알아봐요. 대기가 있어야만 행성의 기온이 생명체가 살기 좋은 온도로 유지되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현재 지구는 연평균 기온이 약 15℃로 덥지도 춥지도 않아요.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불리는 ‘행성방위학회’는 소행성 충돌 사건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 전세계 천문학자와 공학자가 2년에 한 번씩 여는 학회예요. 지구를 위협하는 소행성을 관측하고 충돌을 피하는 방법을 공유하지요. 가상의 소행성이 지구에 떨어진다고 가정해 모의 훈련도 해요. 올해는 4월 29일에서 5월 ... ...
- [과학뉴스] 토성 위성 '타이탄 지도'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탐사선인 카시니호의 자료를 바탕으로 타이탄의 지도를 재구성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11월 18일자에 공개했다.카시니호는 토성의 대기를 통과할 수 있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이용해 타이탄의 표면을 관측했다. 레이더로 관측하지 못한 지역은 카시니호의 가시광선 및 적외선 지도작성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왜소은하 프로젝트는 천체 사진을 하나씩 분석하면서 왜소은하를 찾아야 하는 천문학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거예요. 시민들이 표시해 준 사진을 기준으로 효율적으로 왜소은하를 찾을 수 있을 거예요. 그 중에서도 우리는 우리은하처럼 두세 개의 왜소은하를 거느린 큰 은하를 찾아서 우리은하의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산성화 · 카이퍼 벨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카이퍼 벨트의 존재가 확증되었답니다. 그러면 카이퍼 벨트가 태양계의 끝일까요? 천문학자들은 카이퍼 벨트 바깥에는 태양계를 껍질처럼 둘러싼 ‘오르트 구름’이 존재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해요. 너무 멀고 어두워서 지금까지는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지만요 ... ...
- [과학뉴스] 블랙홀이 내던진 별, 10배 빨리 이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에 의해 은하를 빠르게 벗어나는 별을 관측해 국제학술지 ‘왕립천문학회 월보’ 11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 별은 S5-HVS1으로 불리며, 우리은하 중심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인 궁수자리 A*(Sgr A*)에 의해 시속 약 600만km로 우리은하 중심에서 멀어지고 있다. 일반적인 별보다 10배 빠른 속도다 ...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압력이 없다. 1960년대에는 그의 이론과 반대되는 이론도 존재했다. 옛 소련의 천문학자 야코브 젤도비치 학파가 주창한 ‘팬케이크 구조생성론(Pancake Scenario)’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먼 과거에 질량이 태양의 1000조 배 정도 되는 초은하단들이 먼저 생성됐고, 이들이 곳곳에서 쪼개지며 붕괴해서 더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자체가 최초로 발견된 건 1995년보다 3년 앞선 1992년이었다. 주인공은 당시 미국국립천문학전리층센터(NAIC)의 알렉산데르 볼시찬 박사였다. 그는 별이 죽어가는 단계인 중성자별(PSR1257+12)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355145a0 그리고 3년 뒤 마요르 ... ...
- [수학뉴스] 해변에서 ‘뫼비우스 띠’ 떠올린 뫼비우스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입학해 천문학을 공부했습니다. 이후 천재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에게 천문학을 배웠습니다. 독일 할레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으면서는 수학 연구에 집중해 기하학과 정수론 분야에서 다수의 논문을 발표합니다. 실제로 뫼비우스의 띠뿐 아니라 ‘뫼비우스 변환’, ‘뫼비우스 함수’,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