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재"(으)로 총 9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못해서 굶지는 않았지요.”권 교수는 미국 UCLA에서 박사과정을 밟았다. 지도 교수는 천재로 유명한 테렌스 타오 교수였다.타오 교수와의 첫 만남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일만큼 설레고 떨리는 일은 없다. 더욱이 평소 만나고 싶었던 사람을 만난다면? 그것도 선생님과 제자의 관계로 만난다면 어떨까? ... ...
- [수학뉴스] “미래 직업 200만 개 중 40만 개가 수학·컴퓨터 분야의 일자리”수학동아 l2016년 08호
- 공부할 수 있을 것 같은 선입견이 있어서 사람들이 겁을 먹는데, 어떤가요?이향숙 : 물론 천재 수학자도 분명히 있어요. 그러나 그런 수학자의 대단한 성과도 대다수인 보통 수학자가 쌓은 토대 위에서 이뤄집니다. 중요한 건 끈기와 인내심이에요. 수학은 평범한 사람도 꾸준히 공부하면 해낼 수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년 08호
- 토니 스타크의 실제 모델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독학하고, 12살 때 게임을 개발한 천재다. ‘알파고’의 아버지로 유명한 데미스 허사비스는 인공지능 연구자이자 컴퓨터 설계자다. 2010년 스타트업 ‘딥 마인드’ 설립 후 인공지능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를 만들었다. 알파고와 이세돌의 유명한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뺄셈 등의연산을 사용해 한 데 묶을 수 있는 요소들의 집합을 말한다. 19세기 초반의 천재 수학자 에바리스트 갈루아는 군을 이용해 고차방정식의 해를 찾는 방법을 발견했다. 다양한 타원방정식의 해들도 군을 형성했는데, 와일즈 교수는 이를 놓치지 않았다.도미노를 연속으로 넘어뜨리기 위해 ... ...
- 단맛 실험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사탕과 초콜릿이 사랑을 부른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 밸런타인데이와 화이트데이에 항상 사탕과 초콜릿을 선물로 주고받는 것도 이것 때문이지. 그런데 사탕과 초콜릿이 어떻게 사랑을 불러오는지 궁금하지 않나?단맛을 좋아하는 건 본능이야!사람은 본능적으로 단맛을 좋아해요. 이 본능은 생존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대학원에 처음 갔을 때는 순수수학의 한 분야인 대수학을 공부했어요. 그때는 ‘세상에! 천재들은 이런 것도 생각해 내는구나!’하며 신기해 했어요. 그런데 공부를 할수록 ‘그래서 이게 어디에 쓸 수 있는 거지?’라는 의문이 생겼어요. 나 혼자 재밌고 말기에는 아깝다는 생각이 들었지요. 그래서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내 입으로 ‘천재’라고 하는 게 민망하지 않냐고? 아니, 전혀~! 최근에도 내 천재성을 증명할 수 있는 사건이 일어났거든. 내가 100년 전에 예측한 ‘중력파’의 실체가 확인됐다는 소식, 모두 들었지? 내가 이 소식을 듣고 너무 흥분해서 이렇게 뛰쳐나왔다구! 중력파를 이해하려면 우선 중력에 대해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C씨, 최초 인터뷰2045년 10월 초 어느 밤. 전 국민을 안타깝게 한 사고가 발생했다. 천재 물리학자 A 박사가 퇴근 길 빗길에 미끄러지는 교통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은 것. 사고 이후 A 박사가 한국인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기로 확정돼 있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안타까움을 더했다.반전은 그의 ... ...
- PART 1. 일에서 필요성을 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영감 얻어요!조각가 김주현수학과 예술.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네덜란드의 천재 판화가 에스허르 말고는 본 적이 별로 없다. 과연 우리나라에도 수학으로 작품 활동을 하는 예술가가 있을까? 궁금해서 찾아본 결과 수학 냄새 풀풀 나는 작품을 발견했다. 위상수학★을 대표하는 토러스★와 매듭이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과거처럼 투자만 늘려선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없어요. 연구를 잘 한다는게 과연 뭘까요, 천재적인 사람 몇 명이 세상을 놀라게 하는 거? 그런 건 20~30년 전에 지나갔어요. 지금은 다양한 연구분야가 융합되고, 연구기간이 길어지고 대형화됐잖아요. 사람 사이의 관계가 굉장히 중요해졌어요.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