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등불
광
빛
라이트
광선
light
불
어린이과학동아
"
불빛
"(으)로 총 24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제주도 한림 앞바다 구름이에요 그리고 저녁이되니 수평선에 오징어 잡이 배
불빛
이
포스팅
l
20140820
여기는 제주도 한림 앞바다 구름이에요 그리고 저녁이되니 수평선에 오징어 잡이 배
불빛
이 많이 보여요 ...
사슴벌레 7마리 곤충의 특성을 잘 알아야 곤충도 잘 잡을 수 있다^^
기사
l
20140813
사슴벌레를 잡았는데 잡는 방법이 사슴벌레를 잘 잡을 수 있는 사슴벌레의 특성과 연관시켜 잡았다. 사슴벌레는 밤에 활동을 하고
불빛
이 있는 곳에 모이고 상수리나무 같은 참나무를 좋아한다. 나는 캠프장소에 오자마자 사슴벌레가 올 것 같은 장소부터 찾아 보았다. 이렇게 해서 잡은 사슴벌레가 무려 7마리였다.7마리 사슴벌레들에게 이름도 지어주었다. 제 ...
H7105-0805- 안개만고 덥고 습함 맛있게 나뭇잎을 갉아 먹다가 후레쉬
불빛
에 깜짝놀
탐사기록
l
20140805
H7105-0805- 안개만고 덥고 습함 맛있게 나뭇잎을 갉아 먹다가 후레쉬
불빛
에 깜짝놀란 풀벌레. 힘없이 나무에 매달려있는 참매미. ...
매미의 소리를 아름다운 노래로 들어 주세요~ 수컷 매미가 크게 우는 이유
기사
l
20140723
첫째, 더운 날씨로 인해 열대야 매미들이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둘째, 밤에 집집마다 켜진 전등과 가게의 간판에서 나오는 환한
불빛
때문에 매미들이 낮으로 착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매미가 우는 시간이 길어져 더 시끄럽게 느껴집니다. 우리는 매미의 한살이를 보고 성충이 된 매미의 삶이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수컷 매미도 자신의 생이 ...
a5505-0601-a5 오늘 마지막 탐사. 8시가 넘었는데도 맨눈으로 어느 정도 보여서인
탐사기록
l
20140601
a5505-0601-a5 오늘 마지막 탐사. 8시가 넘었는데도 맨눈으로 어느 정도 보여서인지 개구리 소리가 나무위에서만 조심스럽게 들림 10분 정도 기다렸다가 추가로 녹음함 충분히 어두워짐.
불빛
이 있어야 보임 멀리서 많이 들리기 시작함 ...
테딘판타지아
불빛
축제에 왔어요..아우 신나
포스팅
l
20140316
테딘판타지아
불빛
축제에 왔어요..아우 신나 ...
[과학교과서 파헤치기!] 전기의 모든 것을 알려 주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314
전기는 우리 생활의 기반이에요. 텔레비전, 컴퓨터, 냉장고, 전자레인지 같은 여러 제품은 전기가 없으면 움직이지 않지요. 전등의
불빛
이나 보일러의 가동에도 전기는 꼭 필요해요. 가로등, 신호등, 지하철 같이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만드는 공공시설에도 전기는 필수랍니다.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6호(2014년3월15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 ...
지금 보시는 사진은 우주에서 본 아시아의 밤이에요. 반짝반짝 빛나는
불빛
이 아름답지요? 중
포스팅
l
20140313
지금 보시는 사진은 우주에서 본 아시아의 밤이에요. 반짝반짝 빛나는
불빛
이 아름답지요? 중국과 우리 남한은
불빛
이 아주 환하지만 북한은 아주 어두워 보이지 않네요. 마치 우리나라가 섬처럼 보여요. 북한도 빨리 발전되었으면 좋겠어요. ...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129
왜 서울 같은 도시에서는 별을 보기 어렵지? 도 시는 밤에도
불빛
이 강해서 상대적으로 약한 별빛을 보기 어려운 거야. 하지만 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별을 볼 수 있다고. 맞아! 용산에 과학동아천문대가 생겼거든. 도심에서도 다양한 별을 볼 수 있다고~! ...
[진기명기]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129
왜 서울 같은 도시에서는 별을 보기 어렵지? 도 시는 밤에도
불빛
이 강해서 상대적으로 약한 별빛을 보기 어려운 거야. 하지만 이제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도 별을 볼 수 있다고. 맞아! 용산에 과학동아천문대가 생겼거든. 도심에서도 다양한 별을 볼 수 있다고~!...[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3호(2013년12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