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새
추세
새짐승
흐름
날짐승
형편
경향
어린이과학동아
"
조류
"(으)로 총 624건 검색되었습니다.
[챌린지] 메추라기 부화 일기 [6/8]
기사
l
20230423
상자안을 들여다보니 이런! 메추라기가 알을 깨고 태어나있었습니다. 털을 다말린 후 육추상자로 옮겨주었습니다. 육추 상자란
조류
를 키우는 상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육추 상자에 필요한 것은 키친 타월과 은박지, 사료통, 물통, 전구 등입니다. 키친 타원을 바닥에 깔면 미끄럽지 않아서 메추라기의 다리 기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메추라기의 대변과 ...
제11회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을 다녀와서 [4/8]
기사
l
20230421
전시, 부스 정리 등등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부스 중에 하나는
조류
탐사(탐조)와 관련된 물건들을 팔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저는
조류
탐사대 바이블이라고 하는 "한국의 새"를 구입했습니다. "한국의 새"라는 책은 사진이 아닌 삽화로 한국에 사는 새들이 그려져 있고 설명이 나와 있습니다 수천마리 정도나 되는 새들이 그려져 있었습 ...
(챌린지)갯벌에 대한 모든 것(2/8)
기사
l
20230412
-이때 바닷물이 밀물 때는 모래처럼 보이고, 썰물 때는 검고 편평한 바닥이 드러납니다. 2. 갯벌의 장점 -영양분이 풍부해
조류
나 바다생물들이 알을 낳기 딱 좋은곳입니다. -스펀지처럼 물을 잘 흡수해서 태풍이나 해일등을 막아줍니다. -우리나라의 하수처리장보다 물 정화력이 약1.5배정도 뛰어납니다. -바지락이나 꼬막등 해산물을 맛볼 수 있 ...
토끼태양계 - 230408 - 1
탐사기록
l
20230408
오늘은 세종시 도담동 4단지 옆 산책로에서 물밖에 있는오리를 발견 했습니다.종류는
조류
이고 청둥오리인듯합니다.보통은 청둥오리가 물속에 있는 모습만 봤었는데 오늘은 햇볕이 따뜻 해서인지 산책로에 나와있었습니다.특이사항은 없었습니다. ...
[챌린지]새들의 목숨을 뺏어가는 유리창 충돌의 대처방법!!(1/8)
기사
l
20230406
2015년과 2016년 2차례에 걸쳐 국립생태원 7개 건물에 이 자외선 반사 테이프를 적용해 본 결과, 시공전 1개월 당 2.6마리에 달하던 야생
조류
폐사율이 2018년까지는 한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아래 사진은 자외선 반사테이프가 부착된 국립생태원 건물입니다 (출처:https://www.sciencetimes.co.kr/news/ ...
덕질 하는 것 있으신가요
포스팅
l
20230320
안 되는 의견이지만, 바이러스를 인위적으로 조작해 감기와 에볼라와 에이즈 바이러스의 핵산을 조작하여 스파이크가 사람 수용체나
조류
수용체 둘 다 달라 붙을 수 있는 바이러스를 바이러스가 자연원리로 돌아가는 성질을 막기 위해 에이즈 바이러스의 성질처럼 계속 모양이 바뀌는 것을 설정으로 한 뒤 주기적으로 전세계에 바이러스를 뿌리면 지구는 어떻게 될 ...
인공새집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방법) 설치하기!!
기사
l
20230320
편안한 집을 제공하고 싶다는 생각에 인공새집을 달기로 했습니다. 인공새집이 왜 필요할까요? 인공새집은 1875년 처음 생겨났고
조류
에게 안전한 둥지 자원을 인공적으로 만든 상자모양의 둥지입니다. 자연 보호 활동에 종류중 한가지이며 둥지를 틀지 못하는 새들의 번식을 도와줌으로써 산림해충방지에 큰 효과가 있다. 박새 한마리가 잡아먹는 해충이 ...
WHY박사 - 230318 - 5
탐사기록
l
20230318
소리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 광교산에서
조류
는 직접 관찰은 못했고새소리만 녹음했습니다. 무슨새인지 궁금해요 ...
곤충박사김동우 - 230317 - 1
탐사기록
l
20230317
김포한강야생
조류
생태공원 ...
달걀에 있는 번호?
기사
l
20230301
자란 암탉의 달걀입니다. 비좁은 케이지에서는 닭들이 움직이지 못한채 평생을 알만 낳기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습니다. 또
조류
인플루엔자와 같은 질병이 급속도로 확산되는 문제도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난각 번호가 1번에 가까울수록 동물복지를 생각하는 환경이라는 것이죠. 그럼, 해외에도 난각 번호가 쓰여있을까요? EU에서는 2004년부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