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통
고전어
뉴스
"
고전
"(으)로 총 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자기인식’이라는 다소 철학적인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늘날 동물인지과학 분야의
고전
으로 꼽히는 이 논문에서 갤럽은 침팬지가 거울 속에 비친 자기 모습을 자신이라고 인식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처음 거울을 봤을 때는 깜짝 놀라 난리를 치던 침팬지는 어느 순간 거울 속의 ... ...
정현석 서울대 교수, 양자역학 현상 계측 실마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비
고전
성의 개념을 실용적 응용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라며 “향후 비
고전
성을 포함해 현재까지 알려진 양자 성질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응용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를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과기정통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리더연구) 지원으로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심각한 고소공포증을 앓아 높은 곳에 오르지 못한다.’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고전
영화 ‘현기증’ 속 주인공은 공포스러운 기억(동료의 죽음)과 특정한 자극(높은 곳)이 결합한 공포증을 앓는다. 그래서 직접 목숨의 위협이 없는 안전한 지역이라도, 일단 높은 곳이라면 공포를 느낀다. ... ...
“잊혀진 우리 괴물 ‘강철’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용재총화’ 속 괴물을 정리했다. 이 내용을 올리자 반응이 좋았다. 본격적으로
고전
속 한국 괴물을 정리했다. 그는 “처음에는 내가 작품의 소재로 쓰고 싶어서 시작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의 작품 속 인물이 ‘한국괴물백과’에 보인다. 사람과 용의 자손으로 몸 어딘가에 비늘이 있다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아빠 없는 하늘 아래
2018.12.16
대한 제법 진지한 토론이 있기도 했습니다. 아버지 혹은 남편의 역할에 대한 가장
고전
적인 인류학적 설명은 바로 ‘보호’와 ‘사냥’입니다. 즉 강력한 신체적 능력을 바탕으로 가족을 외적으로부터 보호하고, 먹잇감을 사냥하여 양질의 식량을 집으로 가져온다는 것이죠. 현생 수렵채집인의 ... ...
인간이 생존하기 가장 어려웠던 해는 536년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분석했다. 중세시대와 로마역사를 연구하는 카일 하퍼 미국 오클라호마대 서양
고전
학및문학과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자연현상과 인류 역사와의 관계를 밝혀낸 매우 중요한 사례”라며 향후 역사 연구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 ...
AI화가가 그린 작품 어떻게 5억원에 낙찰됐나
2018.10.26
벨라미의 초상화’ - 크리스티 제공 인공지능 초상화 탄생시킨 두 개의 신경망
고전
적인 금색 테두리의 액자 속에 흐릿한 얼굴의 체격이 약간 큰 남자가 앉아 있습니다. 마치 17세기 네덜란드의 화가 렘브란트의 초상화처럼 어두운 명암이 드리워져 있습니다. 이 그림의 오른쪽 끄트머리를 ... ...
천연약물 백과사전 ‘본초강목’ 우리말로 완역
동아사이언스
l
2018.10.05
동아시아 천연약물 서적 ‘본초강목(本草綱目)’. - 베이징관광국 제공 동아시아에서 사용했던 식물과 동물, 광물 등 천연약물 1892종의 정 ... 2011년에는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다. 원문과 번역본은 한의학
고전
DB 홈페이지(mediclassics.kr)에서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 ...
[조선과학기술 시네마]5관. 신약 개발로 이어진 전통 약재의 생명력
2018.09.21
넘나들며 전통과학의 융합연구와 함께 ‘임원경제지’ ‘의방유취’ 등의 한국
고전
번역에 열중하고 있다. lovejnj@gmail.com. ※편집자주. ‘한가위엔 사극’. 마치 영화계 흥행 공식인 것처럼 매년 추석 시즌에는 사극 영화 대작이 개봉된다. 올해는 풍수지리를 소재로 한 영화 ‘명당’이 관객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데니소바인인 것으로 밝혀져 화제가 됐다), 리버먼 교수는 해부학과 생리학에 기반한
고전
적인 인류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다. 그의 연구를 보면 어떤 건 방법이 좀 ‘무식해’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도구를 써 식재료를 가공한 게 인류 진화(턱과 치아, 소화계)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가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