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희곡
각본
드라마
마지막
전극
극본
연극
뉴스
"
극
"(으)로 총 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광합성 일어나는 '찰나의 순간' 세계 최초로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순간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COF 광촉매에서는 빛이 흡수된 후 전하가 분리돼
극
고속으로 광촉매 표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해 빛이 화학에너지로 바뀌게 되는데 이때 전하가 분리되는 과정을 최초로 관측한 것이다. 빛이 COF 광촉매에 흡수된 후 생긴 전자가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은 규명됐으나 ... ...
연료전지 비싸게 하는 귀금속 촉매 대체하는 촉매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촉매 개발에 성공했다고 30일 밝혔다. 연료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것은 연료전지의
극
에서 일어나는 산소환원반응의 효율이다. 산소환원반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촉매가 쓰이는데 현재까지 가장 적합한 촉매로 평가받는 것은 백금이다. 문제는 귀금속인 백금의 가격이 비싸 수소차의 ... ...
차세대 배터리 효율, ‘금속토핑’으로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9
신소재를 개발하고 안정성 문제도 해결할 단서를 찾았다”며 “금속-공기전지의 공기
극
에 값싼 재료로 만든 고효율 촉매를 적용하면 상용화가 한층 빨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 28일자에 발표됐다. ... ...
‘미세먼지 주범’ 화력발전소 오염물질 배출농도 10분의1로 줄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하는데 화력발전소의 경제적 부담이 컸다. 연구팀은 습분제거기에 고유속용 강체방전
극
과 전기집진 방식을 조합한 ‘정전식 습분제거기(EME)’를 개발했다. EME는 오염물질 입자에 전기를 걸어주고 한 곳으로 모이게 해 제거한다. 이를 통해 화력발전소 탈황설비에서 나오는 오염물질 입자를 ... ...
영화 속 그곳, 빛과 얼음의 땅 북
극
연합뉴스
l
2019.05.14
인간이 가야 할 길이 아닐까. 인간의 흔적이 없는 곳, 눈과 얼음으로 뒤덮인 북
극
의 대자연은 오늘도 말이 없다. 인류가 살아남기 위해선 에스키모들처럼 그 말 없는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여야 한다 ... ...
영하 40도
극
지용 장거리 송유관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극
한지 대형프로젝트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극
한지 자원이송망-기반구조물 설계 핵심기술 개념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제공. ... ...
차세대 배터리 원료 ‘바나듐’, 국내 매장량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5.10
배터리인 ‘레독스 흐름 배터리’는 전해액이 배관을 타고 흘러가며 이온을 나르기에 두
극
이 만날 일이 없어 폭발 염려가 없다. 대형 ESS에 널리 연구되고 있는 이유다. ESS 도입이 늘어나면 바나듐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로 바나듐은 연간 약 7만∼9만5000t이 생산되고 ... ...
분노한 남편의 귀여운 복수
팝뉴스
l
2019.05.05
“당신을 도와줄 수 없어! 미워!”라고 외치는 것 같다. 아내는 남편의 귀여움 레벨이
극
강이라고 평가한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 ...
동네 하수구 속의 악어 ‘무서워’
팝뉴스
l
2019.05.03
“당신을 도와줄 수 없어! 미워!”라고 외치는 것 같다. 아내는 남편의 귀여움 레벨이
극
강이라고 평가한다. 할아버지의 컴퓨터, 네티즌 어리둥절 팝뉴스 제공 한 미국인이 컴퓨터를 쓰고 있는 할아버지의 뒷모습을 촬영해 인터넷에 공개해 화제다. 해외 네티즌들은 어리둥절한 반응을 ... ...
김성용 KAIST 교수, 세계 해양경계류 연구팀 운영위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5개 대양의 아열대 지역을 흐르는 주요 해류를 뜻한다. 적도에서
극
지역으로,
극
지역에서 적도로 열의 이동을 도와 전 지구의 해수 순환과 기후변화에 영향을 준다. 대양을 중심으로 서쪽 경계를 흐르는 난류와 동쪽 경계를 흐르는 한류로 각각 구성된다. 한국에 영향을 주는 북태평양 해류의 경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