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4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비만 기준 'BMI 25 → 27 이상'으로 바꿔야
동아사이언스
l
2024.11.11
관련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최대 규모 추적관찰 연구”라며 “국내 성인의 심
뇌
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 위험을 동시에 고려할 때 현행 비만 기준을 최소 27 이상으로 상향 조정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은 이미 28 이상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 ...
[사이언스영상]
뇌
에 달라붙는 칩을 개발한 연구자
SEIZE
l
2024.11.09
로잔연방공대 제공
뇌
에 칩을 심어야 한다면 거쳐야 하는 첫 번째 큰 일! 바로 두개골을 잘라내는 수술이에요. 그래서 스위스의 한 연구자는 두개골 제거를 최소화하는 꽃모양 칩을 만들었다는데요. 씨즈가 직접 만나보고 왔습니다! 미래 테크, 과학이 궁금하다면 씨즈를 팔로우해 주세요! ● ... ...
[동물do감] 젖은 개가 몸 흔들어 털 말리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단백질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술이다. C-LTMR은 피부를 통해 얻은 정보를 척수를 거쳐
뇌
의 '부완핵'에 전달한다. 연구팀은 광유전학을 이용해 실험 쥐의 척추신경세포 활동과 부완핵 활동을 차단했더니 각각 약 50%씩 몸을 흔드는 동작을 기존에 비해 덜 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많은 ... ...
배고픔·식욕 등 인간 본능 수식으로 표현한 AI
동아사이언스
l
2024.11.08
역할을 수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데 성공했다. 섭식 행동과 관련한
뇌
활동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넓히고 인간의 본능마저도 수치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김규식 박사과정생은 “이제 추상적인 개념들도 인공지능으로 해석할 수 있는 시대가 올 ... ...
차세대 반도체 뉴로모픽 소재 '마그논' 미세구조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07
7일 밝혔다. 뉴로모픽 소자는 인간
뇌
구조와 기능을 모방한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뇌
의 신경 세포인 뉴런이 서로 얽혀 정보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구조를 본떠 정보를 처리하는 원리다. 데이터 처리와 저장 장치가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고전 반도체 소자와 달리 데이터 저장·처리를 ... ...
스트레스 조절하는 장내미생물…난치 우울증 등 새 치료법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것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크라이언 교수는 "이 연구에서 장내 미생물과
뇌
가 시간에 따라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방식 사이에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밝혀냈다"며 "이는 스트레스가 많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건강한 장내 미생물 군집 유지가 중요하다는 ... ...
대한화학회 회장에 금교창 KIST 책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화학 석사, 서울대에서 유기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KIST
뇌
과학연구본부의
뇌
융합기술연구센터에서 책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연구 분야는 유기 합성, 의료 화학, 분자 이미징, 지질 나노입자 및 약물 전달, 항암 및 항바이러스제, 신경학 약물 등이다. 대한화학회에서는 ... ...
면역항암제 안듣는 난치성
뇌
종양 치료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이용한
뇌
종양 치료 임상 실패를 극복하는 방법 중 하나를 찾을 것"이라며 "
뇌
종양 외 다른 난치성 종양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암 면역 치료 저널’에 지난달 26일 게재됐다. doi.org/10.1136/jitc-2024-00944 ... ...
천진우 IBS 단장, 美 글렌 시보그 강연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1.06
대표 업적으로는 나노물질과 나노머신을 이용한 자기공명영상(MRI) 기술 개발 및
뇌
신경회로 제어 기술 개발 등이 있다. 이번 수상에는 나노입자를 바이오 및 의학기술에 접목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천 단장은 “생명 활동을 규명하고 조절하는 데 나노물질과 나노과학이 깊이 ... ...
퇴짜 맞고 떨어지고…KAIST '실패학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11.05
이정모 전 국립과천과학관장 겸 과학커뮤니케이터가 연사로 나선다. 두 전문가는 각각
뇌
과학과 자연사 관점에서 실패의 의미와 가치를 조명할 예정이다. 13일에는 지난해 개인 발표 형식으로 큰 호응을 얻었던 '망한 과제 자랑대회'가 부스 박람회 형태로 열린다. 팀을 이룬 학생들이 자신들의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