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
정신
머릿골
뇌
두상
지능
지성
뉴스
"
두뇌
"(으)로 총 44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속 신경세포들의 변화 양상을 거꾸로 찾아내겠다는 것이다. 질 로랑 독일 막스플랑크
두뇌
연구소 교수 연구진은 오징어의 몸 색깔이 바뀔 때 색소포자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기 위해 물 탱크 속에 초당 60회까지 촬영할 수 있는 20대의 카메라를 장착했다. 이후 갑오징어를 넣고 탱크 내부에 ... ...
몸은 죽고 뇌만 살아있다면… 온전한 인간으로 봐야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8.10.19
우울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새로운 윤리 문제를 제기했다. 정 센터장은 “
두뇌
전기 자극의 효과가 알려지자 일부 학부모층에서 ‘우리 아이가 공부를 좀 더 잘하게 될까’라며 연구에 관심을 갖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고 했다. 그는 “이런 문제로 뇌신경 윤리를 마련할 때는 먼저 ... ...
차세대소형위성1호·천리안위성2A호 발사장 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18
쎄트렉아이가 위성 자세 제어를 위해 개발한 고정밀 별 추적기, AP위성이 인공위성의
두뇌
로 제작한 표준 탑재 컴퓨터도 실제 우주 환경에서 테스트를 받기 위해 위성에 실렸다. 과기정통부는 이들 7개 부품이 우주에서 정상 작동하는 사실이 확인되면 향후 실용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과 ... ...
자동차용 반도체 시동건 삼성전자
동아일보
l
2018.10.17
이미지 센서는 2020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되는 자율주행차의
두뇌
와 눈을 담당하는 핵심 부품이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자율주행차 시대의 도래와 함께 급성장하는 분야다. 특히 첨단 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의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조사업체 IHS는 202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인간의 뇌신경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유럽연합(EU)도 가상
두뇌
개발을 연구 중인 스위스 로잔공대 연구진 등을 지원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방법은 뇌과학 연구 측면에선 긍정적이지만 이 역시 대용량의 컴퓨터 시스템이 필요해 실생활에 활용하긴 어렵다. 과학자들은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전자
두뇌
가 기계 몸을 입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14
하반신마비 환자 사례를 보면 팔다리의 신경 자체가 죽어있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는
두뇌
와 기계장치를 연결하는 ‘뇌-기계 연결(BMI)’ 기술이 필요하다. 이 경우는 아주 기초적이지만 실용화 사례가 있다. 미게우 니콜렐리스 미국 듀크대 교수 팀이 대표적이다. 니콜렐리스 교수 팀은 2014년 6월 ... ...
인간의 뇌 기능 흉내낸 ‘인공 시냅스 소자’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위한 초절전 소자 혹은 회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개발,
두뇌
모방형 반도체 등 같은 차세대 지능형반도체 소자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실장은 “이번 연구결과 기존 인공 시냅스 소자의 단점인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신뢰성 역시 ... ...
[표지로 읽는 과학] 뇌에도 찌꺼기 배출하는 림프관 있다…알츠하이머병 치료 단초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12
이번 주 ‘네이처’ 표지에는 ‘
두뇌
유출’이라는 문구와 함께 뇌의 형상이 담겼다.
두뇌
유출은 유능한 인재가 특정 기관이나 국가를 빠져나갈 때 관용적으로 쓰이는 말이지만, 여기선 말 그대로 뇌에서 불필요한 세포 찌꺼기가 뇌 밖으로 배출된다는 의미로 쓰였다. 조나단 킵니스 미국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 완벽한 ‘안드로이드’에 대한 고민… ‘엑스마키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8.10
아니라, 별도의 독창적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봤다. 따라서 로봇 전용으로 발전한 인공
두뇌
시스템을 별도로 개발해 에이바를 만들었다며 네이든과 칼렙이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도 영화 속에서 볼 수 있다. 적어도 기자가 보기엔 이런 작은 배려가 영화의 신뢰성을 한층 높이는데 일조했다. 개봉 ... ...
깜짝 놀란 ‘고양이 앞의 쥐’ 선천적 공포 반응 뇌 속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08
생명과학과 박사와 한진희 교수,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선임연구원팀은 이마 쪽에 위치한
두뇌
부위인 전측대상회피질(ACC)이 선천적 공포 반응을 담당하는 부위라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ACC가 전전두엽 피질의 일부로, 원래는 학습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