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뉴스
"
민감
"(으)로 총 1,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의도하지 않은 외계인 신호 찾는다…'브레이크스루 리슨' 첫 콘퍼런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4
기대된다. 특히 지금까지는 외계인이 의도적으로 보낸 신호를 찾는 데 집중했지만
민감
도가 높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면 의도치 않게 발생한 외계 문명의 신호를 잡아낼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과학자들은 외계 문명의 존재 지표인 '테크노 시그니처'를 다방면으로 감지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
[과기원NOW] KAIST, 저출생·고령화 대응 나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연구팀이 단백질 검출
민감
도를 크게 높인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빛에
민감
한 메타물질 흡수체를 이용해 복잡한 생물학적 구조에서도 단백질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다. 해당 메타물질은 대량 생산이 쉬워 감염병을 위한 백신 제조 및 질병 진단에 유용하게 쓰일 ... ...
또다른 암 치료 도구 '수리종양학'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진화한다. 암이 재발하는 이유다. 앤더슨 교수는 항암제 용량을 조절해 항암제에
민감
한 세포를 오히려 살아남게 해 내성이 강한 세포와 경쟁하게 유도한다. 결국 내성이 강한 세포의 성장 속도를 늦춰 암을 치료하는 방식이다. 지금까지 그의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 리뷰 암', '셀' 등에 실렸다. ... ...
다리 절단 美 MIT 과학자, '내 다리' 같은 로봇 다리 만들어 걸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된 것처럼 느끼려면 신경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극은 땀과 같은 물기에
민감
한다는 점에서 전력 질주와 같은 상황에서도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의족을 개발하는 과제가 남았다. doi.org/10.1038/s41591-024-02994- ... ...
[푸드테크 뜬다]⑤ 미생물로 만든 대체단백질, 우주식량으로도 쓰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부분은 무엇인지. (김) "식품은 의약품과 달라서 의사가 용량제한을 할 수 없고 사고에
민감
하다. 국가·지역마다 허가 기준이 다르다. 대체단백질 기술 규제 마련과 승인에 속도가 매우 오래 걸리고 까다롭다." Q. 미생물 대체단백질은 어디에서 먼저 쓰일 것으로 생각하나. (윤) "이미 반려동물 ... ...
선풍적 인기 비만치료제, 체중감소 원리 세계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8
때부터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GLP-1 유사체를 투여한 쥐는 신경의 활성이 더
민감
하게 변화했다. 사람과 쥐 모두에서 음식을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배부름이 발생한다는 뇌 중추의 시상하부 기전을 규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광유전학 기술을 이용해, 신경세포에 직접 빛을 비춰 인위적으로 ... ...
은행으로 파고드는 생성AI…대출 서류 적정성도 검토
과학동아
l
2024.06.22
생성AI 특유의 오류 현상)현상은 다른 분야보다 생성AI의 은행 서비스에서 가장 크고
민감
한 장애물이다. 생성AI가 신용도가 양호한 기업을 부실한 기업으로 잘못 판정하거나 지급 결제 정보를 고객에게 잘못 제공할 경우에 은행의 평판을 심각하게 훼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객들의 중요한 ... ...
폭염에도 '꿀잠' 자는 10가지 팁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들면 된다. ⑨ 아이들을 배려하자 아이들은 보통 잠에 잘 들지만 일상의 변화에
민감
하다. 평소 목욕·취침시간이 바뀌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아기는 너무 덥거나 추워도 보호자에게 알리기 어려우므로 체온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다. ⑩ 너무 걱정하지 않기 하루나 이틀 정도는 수면 ... ...
150년 만에 밝혀진 생식기 자극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연구팀은 이후 크라우스 소체가 뇌에서 쾌락 감각을 유발하는지, 동물이 나이가 들어도
민감
성을 유지하는지 등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긴티 교수는 "우리가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다"고 전했다. ... ...
남극 미생물에서 '항생제 무력화하는 효소'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기작을 찾아냈다. 특히 중이염, 기관지염 등에 쓰이는 세파클로르(Cefaclor) 항생제에 가장
민감
하게 반응했다. 효소와 항생제가 결합하는 부위의 독특한 구조가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준현 책임연구원은 "남극 생태계는 춥고 고립된 환경에서 독자적인 진화를 거듭하면서 인류에게 유익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