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맥박
기운
고동
뉴스
"
박동
"(으)로 총 24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상통화 하면서 심장병 진단한다
2014.08.31
것”이라며 “대규모 임상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심장
박동
학회에서 발간하는 ‘심장
박동
(Heart Rhythm)’ 29일자에 실렸다.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전류를 생성하는 스마트 센서인 초소형 나노발전기를 최근 개발했다. 이 발전기를 심장
박동
보조기에 연결하면 배터리가 떨어져 몇 년마다 재수술을 받아야 했던 기존 장비의 불편함이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경종민 연구단장(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교수)은 “스마트 센서와 같은 정보기술(IT) ... ...
[Health & Beauty]“더워 잠 안오는 여름밤, 야식·음주하면 되레 불면시간 늘어요”
동아일보
l
2014.07.23
온도가 높아지면 체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서 피부로 피가 더 빨리 돌도록 심장
박동
수를 높여야 한다. 이때 교감신경이 흥분한다. 교감신경은 잠을 깨우는 작용을 하므로 체온을 낮추려는 생리 반응이 잠이 오기 힘든 환경을 만든다. 실내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에어컨이나 선풍기 등을 ... ...
전자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혈당 정보를 실시간으로 병원에 전송해 처방 받을 수 있고 부정맥이 있는 사람도 심장
박동
패턴을 손쉽게 진단할 수 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전자피부’(위)는 얇고 잘 늘어나서 피부에 부착해 생체 반응을 측정하거나 패치처럼 치료용으로 쓸 수 있다.자종이’는 종이처럼 얇은 디스플레이 ... ...
압전소자 하나로 LED 105개 동시에 번쩍
과학동아
l
2014.05.15
혈액의 흐름, 근육의 수축과 이완 등의 생체역학적 힘도 전기로 바꿔 주기 때문에 심장
박동
보조기와 같은 삽입형 의료기기의 전원공급장치로도 쓸 수 있다. 그러나 에너지 효율이 낮은데다 제작공정이 복잡해 지금까지는 상용화 가능한 소자는 개발할 수 없었다. 이 교수 연구팀은 먼저 ... ...
[채널A] ‘삶과 죽음의 시간’ 4분…돌연사 원인 1위 심근경색
동아사이언스
l
2014.05.14
재관류를 하게 되죠. 심근경색으로 심장마비가 온 경우엔 4분 이내에 심폐소생술로
박동
을 되돌려야만 뇌 손상을 막을 수 있습니다. 평소 담배를 피우거나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과 같은 질환이 있는 경우 검진을 주기적으로 받고, 운동과 채소 위주의 식이요법도 꾸준히 해야 심근경색을 예방할 수 ... ...
이건희 회장이 받은 저체온요법 뭘까
과학동아
l
2014.05.12
양의 피가 갑자기 공급되면서 뇌나 장기가 붓거나 손상될 수 있다. 심폐소생술로 심장
박동
이 다시 돌아와도 사망하는 사례가 절반이 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차가운물 식염수 점적, 체온 낮춰 저체온요법을 실시할 때는 먼저 전신에 물을 뿌리고 바람을 쐬어 준다. 섭씨 4도 정도로 차가운 ... ...
몸 속에서 녹는 배터리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03.25
체내 이식형 배터리 전문가로 지난 1월에도 인체이식형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 심장
박동
기를 비롯한 영구 이식이 필요한 보조장비는 배터리 교체를 위해 재수술을 받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 착안, 인체 장기의 움직임을 사용하는 배터리를 개발해 화제가 됐다. 로저스 교수는 “무선으로 ... ...
선천적으로 음악 못 즐기는 사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6
음악을 듣고 있을 때와 돈을 따거나 잃었을 때의 감정 변화를 알아내기 위해 심장
박동
수와 피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그 결과, 음악을 들었을 때 쾌감을 느끼는 보상회로와 돈을 땄을 때 느끼는 쾌감의 보상회로는 전혀 별개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음악감수성이 낮은 ... ...
웨어러블 컴퓨팅 기술 눈 앞으로 다가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3.05
찰 수 있는 초소형 컴퓨터, 체온과 심장
박동
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티셔츠 등 스마트폰에 이어 차세대 IT 시장을 장악할 것으로 보이는 ‘입는 컴퓨터’ 기반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백경욱 교수팀은 특수 신소재를 이용해 낮은 가격으로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