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락
천둥소리
우뢰소리
뇌성소리
뇌성
천둥
번갯불
뉴스
"
번개
"(으)로 총 257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부분을 읽어봤다. 자연계에서 연간 1억 9000만t의 질소가 고정되는데 이 가운데 10%만이
번개
나 광화학반응 같은 비생물적 반응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나머지 90%를 생물적 질소고정, 즉 질소고정박테리아가 만든 것이다. 그리고 100여 년 전 독일의 화학자들이 개발한 암모니아합성법으로 매년 1억200 ... ...
남부 돌풍동반 요란한 비… 장마전선 9일 물러날듯
동아일보
l
2015.07.08
기상청은 8일 전국 대부분 지방에 비가 오는 가운데 남부지방에서는 돌풍과 함께 천둥,
번개
가 발생하는 곳도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7일 시간당 20mm의 많은 비가 내려 호우특보가 내려졌던 제주는 오후에 비가 그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제주 산간 지역과 울산에는 8일 새벽에 호우특보가 내려졌다. ... ...
번개
모양은 전하가 퍼지는 최적의 경로
수학동아
l
2015.07.03
흘려보내려면 에너지를 최소로 써야 하기 때문에 이런 모양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즉
번개
전하나 하천의 물줄기, 나무뿌리는 수학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길을 택해 뻗어나가는 셈이다. ※ 더 많은 수학기사를 2015년 7월호 수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12
다른 설명도 있었어요. 천둥
번개
가 내리치는 날에는 공기 중에 오존(O3)이 생기기 쉬워요.
번개
가 산소(O2) 분자를 산소 원자 두 개로 나누고, 홀로 떠다니던 산소 원자가 다른 산소 분자와 결합해 오존을 만들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아무런 냄새가 없는 산소와 달리 오존은 독특한 냄새가 나요. 이 ... ...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진다면 어떻게 될까
2015.04.26
만약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야구공을 광속으로 던질 수 있다면, 지구 상 모든
번개
를 모아서 한곳에 집중적으로 보낼 수 있다면? 기발한 상상력의 결과를 과학적으로 해설해 보는 책 ‘위험한 과학책’이 새롭게 출간됐다. 저자는 미국 최고의 과학 웹툰 작가로 꼽히는 랜들 먼로. 궁금하지만 ... ...
과학은 우울증의 안개를 걷어낼 수 있을까
2014.11.16
네이처 제공 이번 주 ‘네이처’ 표지는 온통 회색빛 ‘안개’다. ‘The Great Depression’이라는 말에 ‘경제 대공황’이 가장 먼저 떠올랐지만 오른쪽 작은 ... 미국 내에서
번개
가 많이 치는 지역의 관측 결과를 비교한 결과 이전 방법보다 더 정확하게
번개
를 예측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한국 대기관측 망원경 우주에 안착
과학동아
l
2014.07.13
주 임무다. 우주입자 섬광은 지구 대기현상과 맞물려 항공기 추락 등을 유발하는 ‘메가
번개
’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교수팀은 2009년 9월에도 자체 개발한 망원경 엠텔(MTEL)을 우주로 보냈지만 석 달 후 인공위성이 실종돼 충분한 데이터를 얻지 못했다. 박 교수는 “이번에 ... ...
벼락을 붙잡을 순 없을까
과학동아
l
2014.07.13
활용하려고 시도했다. 전선이 달린 로켓을 발사하거나 고층
번개
탑을 지어
번개
를 붙잡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하지만 마이크로초 정도의 짧은 순간에 발생하는 막대한 전기를 안전하게 저장하는 방법을 찾는 데는 실패했다. 무엇보다 벼락이 어디에 칠지를 알지 못하니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 ...
위내시경 대신 ‘빛 내시경’ 하세요~
과학동아
l
2014.07.07
만들었다고 7일 밝혔다. 광음향은 물질이 빛을 흡수할 때 음파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번개
가 치면 천둥소리가 들리는 현상과 같은 것이다. 포스텍 연구팀이 개발한 검진기기로 몸속을 촬영한 영상. - 포스텍 제공 몸에 레이저를 쏘면 레이저의 빛에너지로 광음향 신호가 생긴다. 이 신호는 ... ...
스파이더맨 두 '악당(?)'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4.04.30
갑작스런 고압전류로부터 회로를 지키는 방법도 가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번개
정도의 막대한 고압전류를 막으려면 코일의 길이와 무게 또한 커져야 한다. 정 연구원은 “영화인 만큼 대략적인 과학의 원리만 차용한 것으로 엄밀한 잣대를 들이대면 영화의 재미를 놓치게 된다”고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