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정
수정
개정
교열
보상
배상
정정
뉴스
"
보정
"(으)로 총 333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리카락 이용해 습도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머리카락 길이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은 반응 속도가 느리고 지속적으로 수치를
보정
해야 해 정밀한 계측 수단으로 쓰일 수 없다. 연구팀은 이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머리카락으로 기계공진기를 제작했다. 머리카락이 기타 줄처럼 팽팽하게 고정되고 광학적 측정을 위해 금을 부착시켰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녹지는 정신건강에 도움을 준다
2019.04.23
노이로제의 발병률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력, 부모 나이 등 다른 요인을
보정
한 뒤에도 여전히 녹지 비율에 큰 영향을 받았다. 조현병(정신분열증)과 약물중독도 꽤 영향을 받았다. 그렇다면 녹지 비율이 어떻게 정신질환 발생률에 영향을 미치는 걸까. 뜻밖에도 이에 대해서는 아직 ... ...
"초콜릿 먹으면 중년 난청 예방에 도움"
연합뉴스
l
2019.04.16
줄 수 있는 흡연, 스트레스, 음주습관, 폐경, 만성질환, 이어폰 사용 등 요인을 모두
보정
했을 때 초콜릿을 먹는 사람에게서 난청이 생길 위험이 초콜릿을 먹지 않는 사람보다 평균 17% 낮은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양쪽 귀가 모두 난청일 위험도만 보면 같은 비교조건에서 21% 차이가 났다. 또 초콜릿 ... ...
"너무 흐릿해" 블랙홀 관측 이미지는 왜 뿌옇게 보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신호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전파망원경의 위치 차이에 따른 블랙홀 위치 차이를
보정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정과 모델링을 거쳤지만 상상과 이론에만 의존해 묘사했던 블랙홀의 모습을 뛰어넘는데 의의가 있다. 변도영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 확인한 것 외에도 ... ...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천문연 전파천문본부 연구원은 “사건의 지평선을 관측하고 관련 데이터를 처리 및
보정
하는데 참여했다”며 “최종 영상화에도 함께 참여하는 등 한국 연구진도 이번 사건의 지평선 관측에 힘을 보탰다”고 말했다. 이번 관측결과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10일 특별판에 ... ...
GPS는 1024주마다 'Y2K' 공포 온다… 6일 美GPS 시간표기 ‘리셋’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인공위성의 고도에 따른 중력 차이와 위성 속도에 따른 시간 흐름차이까지도 정확하게
보정
, 정교한 시간 정보가 제공된다. GPS 수신기를 통해 정교한 시간 정보를 얻어야 하는 민감한 과학장비가 롤오버로 시간 데이터를 혼동하면 데이터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GPS가 제공하는 ... ...
美 서부 가뭄 유발 ‘워커순환’ 강화 원인 지구온난화 아닌 ‘자연변동성’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연구진은 전 지구 범위를 포괄하고 정기적인 관측이 가능한 위성 관측 데이터와 오차를
보정
한 지상 관측 자료를 활용해 워커순환 변화 패턴을 분석했다. 워커순환 변화 요인을 판별하는 데 최적화된 기후모델 실험 결과도 함께 분석했다. 분석 결과 기후모델 실험에서는 워커순환이 약화 경향을 ... ...
대한지질학회, 학술적 이견 불구 "포항지진은 촉발지진" 공식화 문제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기 위해 속도모델을 구축하고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등의 진원
보정
과정을 거쳤다고 덧붙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98개 지진의 정확한 진원을 결정한 결과 PX-2 지열정에서 진행된 물 주입이 유발한 미소지진들이 이루는 평면과 포항지진의 단층면해가 일치하는 것으로 ... ...
근육보다 ○○○○ 많으면 심혈관질환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될 수 있다고 결론 내렸다. 반면 체질량 지수가 30 이상으로 고도비만인 사람은 ‘키로
보정
한 근육의 절대량’ 지표가 심혈관질환의 위험도를 더 잘 반영했다. 김 교수는 “허리둘레처럼 널리 알려져 있는 비만 기준으로만 심혈관질환을 평가하면 저체중이나 정상체중에 있는 사람에게 ... ...
버려지는 폐열도 전기로 바꾸는 소재 상용화 성큼…더 저렴하게 친환경∙고성능 열전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나노미터(nm) 수준에서 시료를 관찰할 수 있는 구면수차
보정
주사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해 다결정 셀레늄화주석을 관찰했다. 다결정 셀레늄화주석에 극소량의 산화주석 나노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화주석은 셀레늄화주석보다 열전도도가 약 140배 높은 물질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