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뉴스
"
시간
"(으)로 총 19,049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이공계 인재 풀 더욱 두터워진다…"트럼프 정부가 불붙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고민하는 중국 연구자들이 고국으로 돌아가게끔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28일(현지
시간
) 미국 국무부가 자국 내 중국 유학생에 대한 비자 취소 작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향후 심사 기준도 강화한다. 고급 이공계 인재를 유치하는 것은 중국이 과학기술·경제·사회 발전을 위한 노력의 ... ...
'수술 후 회복 프로그램' 적용 위암 환자, 입원 기간·통증 줄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수술 후 통증 및 마약성 진통제 사용량이 40% 감소했으며 전체 입원 기간은 평균 24
시간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은 박도중 위장관외과 교수, 이호진 마취통증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을 통해 ERAS의 수술 후 회복 질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10일 밝혔다. 위암은 ... ...
[육아X청년과학자]⑤ "논문·연구 등록 땐 맞벌이 인정안돼 어린이집 순번 밀렸죠"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기간이 3개월 이상의 긴 공백처럼 느껴진다. 아이가 어릴 땐 물리적으로 케어해야 하는
시간
이 많이 들기 때문에 아이가 좀 더 큰 뒤 실적을 만들어나가고 있다. 연구교수를 하면 전임교원을 목표로 두는 경우가 많지만 연구교수를 10년 정도 한다고 해서 전임교원이 되는 건 아니다. 어떤 대학에 ... ...
원하는 RNA만 콕 집어 화학변형시키는 '유전자가위'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유전자 가위'로 불리는 리보핵산(RNA) 가위를 이용해 세포에서 원하는 RNA만 정확하게 찾아 화학 변형을 할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게티 ... 참여했다. 국제 학술지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 (Nature Chemical Biology)’에 2일(현지
시간
) 게재됐다. -DOI: https://doi.org/10.1038/s41589-025-01922- ... ...
고온공정 없이 쇠구슬 굴리면 이산화탄소→메탄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5.06.10
메탄으로 전환하는 기계화학 공정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5일(현지
시간
)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공개됐다. 기후변화의 주범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해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물질로 전환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산화탄소를 메탄 등으로 전환하려면 ... ...
"전공의 교육 개선은 '시대적 요구'…수련교육원 도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발의한 전공의법은 근무
시간
과 노동 착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주당 근무
시간
을 급격히 줄이면 수련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진료지원(PA)간호사 법제화가 전공의 수련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의사의 역할과 PA간호사의 역할을 구분하는 컨센서스가 ... ...
한국 초등생 그림 20점 ISS서 생중계로 소개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이번 행사에서 우주인을 통한 작품 소개와 현장 어린이들과의 실
시간
질의응답
시간
이 진행될 예정이다. 보령은 "청소년들에게 창의적 영감을 제공하는 순수 공익 교육 프로젝트로 기획됐다”며 “현장에는 2025 HIS Youth 대회를 통해 선발된 초등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며 우주 미션과 연계한 교육 ... ...
심방세동, ‘피 한 방울’로 예측한다…AI 예측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뛰어난 정확도를 보였다. 확인된 단백질 정보는 심방세동이 실제 발생할 때까지의
시간
을 예측하기도 했다. 연구팀은 이를 단순 위험예측을 넘어 질병 진행 경과를 추정할 수 있는 기능으로 평가했다. 또 일부 단백질은 심방세동뿐만 아니라 뇌졸중, 심부전 등 동반 질환의 발생과도 연관된 것이 ... ...
한미 연구팀, 코로나19 폐 손상 막는 나노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9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기존 호중구 세포외덫 억제 약물은 분해 속도가 빨라 약효 지속
시간
이 짧고 표적 전달 효율성이 낮아 치료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폐 조직 내 호중구만 선택적으로 표적할 수 있는 지질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쥐 실험에서 지질나노입자가 정확히 호중구로 전달됐다 ... ...
항암제 '카티' 암치료 새 시대...악성 뇌종양과 위암에도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6.09
있는 종양에 직접 접근하도록 했다. 종양을 향하는
시간
은 단축되고 뇌에서 작용하는
시간
이 늘어나면서 치료 효과를 오랫동안 낼 수 있게 됐다. 이번 두 연구 결과는 CAR-T 치료의 고형암 적용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세계 암 연구자들 또한 이번 임상시험 결과에 큰 기대감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