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뉴스
"
연구진
"(으)로 총 7,572건 검색되었습니다.
'침묵의 살인자' 췌장암, 혈액검사로 조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프로테아제는 암세포가 주변 조직을 침범하고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진
은 프로테아제 중 하나인 기질 금속 단백질 분해효소(MMP)가 췌장암 환자의 혈액에서 높은 농도로 검출된다는 점을 이용해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혈액 내 프로테아제의 활성 강도를 측정하는 나노 ... ...
머릿속 '별세포' 칼슘 신호 조절해 뇌졸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밀접하게 관여해 뇌졸중 후 손상된 신경 기능을 보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진
은 만성 피질하 뇌졸중을 유발해 운동 기능이 떨어진 생쥐의 감각-두정피질 별세포에 옵토스팀원을 발현시키고 머리에 삽입된 광섬유를 통해 빛을 조사해 칼슘 신호를 활성화했다. 실험 결과 ... ...
기후 변화가 뎅기열 확산 가속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온라인판에 실렸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연구진
의 모습 김재경 IBS 의생명 수학 그룹 CI(오른쪽)와 올리비아 카위딩 IBS 연구원. IBS 제공 -http://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q190 ... ...
韓 참여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28일 발사…"은하 전체 관측해 외계생명 탐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우주망원경에 최초로 적용하는 영상분광 관측 기술을 한국
연구진
이 NASA와 협력해 개발하고 활용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지속적으로 천문학 분야의 국제 협력 연구를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2월 '별의별 과학특강'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드폭에서 함디 물룩 부총장을 비롯해 주요 단과대학 학장과 부학장 등 인도네시아대
연구진
과 함께 공동 워크샵을 개최하고 협력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 ...
감정노동 근로자 정신건강 살피는 AI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직원들을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
이 감정노동 근로자의 정신건강을 살피는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 실제로 느끼는 감정과는 다른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감정적 작업 부하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감정노동 근로자들이 겪는 정신적, 신체적 질병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
고분자 응집력 강화하는 법, 홍합에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연세대 화학과 교수(왼쪽)와 이동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연세대 제공. 국내
연구진
이 홍합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고분자의 응집력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 원리를 규명했다. 접착제, 자가 조립 시스템, 약물 전달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세대는 김병수 화학과 교수 ... ...
방사선 없이 날숨만으로 폐암 조기 선별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예후 모니터링뿐 아니라 일반인의 자가 건강 관리에도 활용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연구진
은 후속 연구를 통해 추가로 1000개 이상의 대규모 추가 폐암 환자 임상시험을 진행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의 재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또 시스템을 통해 위암, 대장암 등 다양한 암 ... ...
'난치성 전신경화증' 치료 유망 단백질 기능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연구교수, 박성환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 가톨릭대중앙의료원 제공 국내
연구진
이 난지성 질환인 전신경화증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새로운 단백질 기능을 규명했다. 가톨릭대중앙의료원은 조미라 가톨릭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와 박성환 서울성모병원 류마스티내과 교수 ... ...
전기차 대세 'LFP 배터리' 약점 재활용 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배터리로 주목받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국내
연구진
이 LFP 배터리의 약점으로 지적되던 재활용 기술을 내놓은 것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김형섭 중성자과학부 책임연구원팀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안전한 LFP 배터리를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