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완전
완비
천의무봉
완전무결
완성
마무리
극치
뉴스
"
완벽
"(으)로 총 1,32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스터리 세계 지도
팝뉴스
l
2022.03.07
사진을 공개한 사람은 후자라고 강력히 주장한다. 믿기 어려울 정도로 세계 지도는
완벽
에 가깝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 ...
코로나 확진자와 함께 먹고, 자도 감염되지 않는 '그들'이 있다…치료전략의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2.03.03
찾고 확인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안드라스 스판 미국 록펠러대 교수는 “감염으로부터
완벽
한 보호를 제공하는 잠재적으로 매우 희귀한 유전자 변이를 찾고 있다”며 “감염자와 같은 집에서 침대를 공유하고 생활을 하지만 감염되지 않은 사람들 중 이같은 유전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있을 ... ...
10만년전 조상부터 현생 인류까지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인류 족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8
했다. 집단유전학자인 정충원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현재 수준에서 가장
완벽
한 유전체 정보에 가깝다”며 "상당히 혁신적인 유전학 분석기술"이라고 말했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의 재현성 위기와 보통과학자의 송곳
2022.02.24
더욱 자세히 논문에 수록되어야 한다는 점 역시 드러났다. 출판된 논문만으로는 실험을
완벽
하게 재현할 수 없었던 것이다. 현대 과학논문은 지면부족 등의 이유로, 데이터를 재현하기 위해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프로젝트의 참가자들은 논문을 재현하면서 '등록보고서'라는 형식의 ... ...
밀물과 싸워 건져낸 1억7천만년 전 최대 익룡 화석
연합뉴스
l
2022.02.23
화석으로 발견되는 것이 많지 않다. 하지만 자크 화석은 "3차원 구조를 유지하며 거의
완벽
하게 보존돼 살아 있었을 때 모습을 보여줬다"고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 발표된 관련 논문의 제1 저자인 에든버러대학 고생물학자 나탈리아 야기엘스카가 밝혔다. 논문 공동 저자인 ... ...
'유령입자' 중성미자 최대 질량은 0.8전자볼트…범위 더 좁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최대 0.8전자볼트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번 측정 결과가 이전의 모델링 결과와
완벽
하게 일치함에 따라 상한선을 확정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카트린 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는 존 윌커슨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물리학과 교수는 “1전자볼트의 벽을 허문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 ...
"웹 우주망원경, 관측이 이론을 이끄는 천문학 시대 만들 것"
연합뉴스
l
2022.02.15
늘고 상상 이상의 결과물을 내놓을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그는 "웹 우주망원경이
완벽
에 가깝게 목표 궤도에 진입한 덕분에 연료를 최대한 아꼈고 최근에 계산해보니 예상 수명이 20년 이상으로 늘어났다"며 "망원경에 자세 조정에 필요한 반작용 휠(reaction wheel)도 3개 필요한데 고장에 대비해 ... ...
생체 조직 깊은 곳 고해상도 3D 이미지 빠르게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광학 수차를 유발해 생체 조직 깊은 곳의 고해상도 이미지를 얻기 어렵다. 광학 수차란
완벽
한 이미지를 만들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연구진은 독자 개발한 알고리즘을 활용해 빛이 투과하는 생체 조직(매질)에 의한 광학 수차를 개선하고 빛의 산란에 의한 노이즈를 줄였다. 특히 고해상도 3D ... ...
[랩큐멘터리]절대0도 가까운 분자로 양자컴퓨터 지평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09
구현하면서 큐비트의 수를 확장하기 수월해야 한다는 조건까지 만족하는 더욱
완벽
한 큐비트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박지우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가 이끌고 있는 극저온 양자기체 연구실도 이런 요건을 만족할 새로운 큐비트의 개발에 도전하고 있다. 박 교수는 “입자들간 장거리 ... ...
OLED 효율 높인 이준엽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2.09
상대적으로 효율과 수명이 짧다는 점이다. 고효율 OLED는 전기에너지를 손실 없이
완벽
하게 빛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전기에너지를 흡수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유기 발광 재료는 일반적으로 화학 결합의 안정성이 뛰어나지 못해 오랜 시간 동안 큰 에너지를 흡수하고 있으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