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당
편
동아리
학교
기준 타수
파라미터
미터
뉴스
"
파
"(으)로 총 564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사이언스·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7
변화는 ‘소닉붐’이라는 폭발음을 유발시킨다. 공학자들은 이 측정 자료를 이용해 충격
파
와 그에 의한 소닉붐 현상을 줄이는 항공기술을 연구 중이다 ... ...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12.06
유역의 지각판을 계속해서 한쪽으로 당겨 물줄기가 휘지 않고 유지되게 만든 셈이다.
파
세나 교수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맨틀의 흐름이 강의 물줄기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규명했다”며 “만약 맨틀의 흐름이 없었다면 나일강 물줄기는 북서쪽으로 휘어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 10.1038/s ... ...
태양의 미스터리 '코로나 가열 현상' 유력한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4
겹쳐지며 증폭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온도가 급격히 늘어나는 구간의 거리는 MHD
파
의
파
장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연구팀의 벤 스노우 영국 엑스터대 교수는 “태양 자기력선을 둘러싼 가열 현상 문제를 풀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고 말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태양에서 ... ...
"청중을 모르는 과학자의 강연, 불을 끈 채 다트 던지는 격"
동아사이언스
l
2019.11.28
과학자들에게는 확률밀도함수를 ‘PDF’로 설명해도 이를 알아듣겠지만 대중은 컴퓨터
파
일 형식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경향’이나 ‘긍정적 영향’ 같은 단어도 쓰지 말 것을 권했다. 대신 비유를 적절히 섞어 내용이 완벽히 맞지 않더라도 듣는 사람이 쉽게 알아들을 수 있도록 하라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쇠똥구리 가슴뿔과 날개는 기원이 같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쇠똥구리는 다른 딱정벌레들과 비교해 몸이 편평한 편이며, 가슴과 배 사이에 깊이
파
인 홈이 있다. 또 머리뿐 아니라 가슴 상단에도 커다란 뿔이 나 있다. 이 뿔의 크기는 예상 외로 커서 어떤 쇠똥구리는 몸길이의 절반만큼 커다란 뿔을 갖고 있기도 하다. 연구를 통해 학계에서는 오래 전 ... ...
해외전문가 "포항 지열발전사업단, 단층 존재 모를 리 없어"서울대·지질연 논문 철회주장
동아사이언스
l
2019.11.15
데이터다”고 말했다. 단층암에서는 나무조각이나 조개껍데기도 발견됐다. 이는 땅을
파
는 과정에서 넣은 물로 만들어진 진흙(이수)이 유출되자 이를 급하게 막으려 시도한 정황이라는 지적이다. 이수가 유출됐다는 것은 지역에 단층면이 있다는 증거가 될 수 있다. 시마모토 교수는 “이수 ... ...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백경목 SK하이닉스 수석연구원·이재만 다원산업 대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독자적 국산화에 성공해 재활용 쓰레기 처리 효율 향상에 기여했다. 이재만 대표는
파
봉기의 특성상 발생되는 축에 끈, 이물질 등 말림현상 제거와 혼합된 병 등의 손상을 막기 위해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를 통해 말림현상을 완전히 제거하고 병 훼손을 최소화하는 커터의 형상과 구조를 개발했다. ... ...
건기연, '달 표면 극한 환경' 세계 최초 구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1.05
ESA) 등 각국 우주기구와 DTVC를 활용한 공동연구를 협의하고 있다. 달의 지반을
파
내려가는 드릴링 실험과 월면토를 건설 재료로 활용하는 실험, 달 탐사 로버의 주행 테스트 등 다양한 실험이 수행될 예정이다. 이날 건설연은 월면토 위에서 로버가 주행하는 모습도 공개했다. 월면토를 가득 담은 ... ...
"어릴 적 만화잡지 보며 꿈 키워...뇌과학 접목한 만화 그리고
파
"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9.28
인공지능 로봇이 등장하는 '인공지능 마이보'를 연재 중이다. 2일 홍 작가를 경기
파
주 운정신도시 자택 근처 카페에서 만났다. 따로 작업실이 없는 홍 작가는 자택과 카페를 오가며 태블릿 PC 등으로 작업을 한다. 그에게 과학 만화가의 작업법과 앞으로의 구상을 물었다. -15년 동안 과학만화를 ... ...
드론 띄우니 꽁꽁 숨은 '위장 천재' 멸종위기새도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19.09.24
선임기술원, 박미진 서울대 연구원팀이 북위 82도의 북그린란드 시리우스
파
세트 지역에서 털갈이 중인 붕홍발기러기와 알을 품고 있는 흰죽지꼬마물떼새를 드론을 이용해 찾아냈다고 24일 밝혔다. 동물의 분포 밀도와 개체수는 동물 연구의 기본 자료지만, 현장에 연구자가 가서 일일이 세는 방식을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