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06건 검색되었습니다.
더 정확한 줄기세포 유전자가위 개발…맞춤형 치료제에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결과 특정한 단백질에 의한
DNA
손상 스트레스 반응이 감소하며 세포사멸이 유도됐다.
DNA
손상 복구 반응에 의해 교정 작업이 저해되는 문제점도 개선됐다. 연구팀은 “이 기술은 유전질환 환자의 질환 치료용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 ...
美 돼지신장 이식 환자 2개월만 사망…이종이식 넘어야 할 산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부작용에 대한 바이오마커를 다양한 관점에서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DNA
나 마이크로RNA(마이크로 리보핵산·암호화가 되지 않은 작은 RNA분자) 수준의 증감이 거부반응을 예측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종이식 성공을 위해 넘어야 할 산은 많지만 학계의 전망은 밝다. 독일 ... ...
꽃들은 어떻게 진화했나...최대 규모 '꽃 가계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12
통해 식물들이 꽃으로 피는 연대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염기서열은
DNA
의 기본단위 구성성분 중 하나인 염기들을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것이다. 그 결과 현대 식물 계통의 80% 이상은 약 1억 5000만년 전 쥐라기 후기에 시작된 '갑작스러운 폭발'에서 비롯된 ... ...
"사회적 차별 받으면 빨리 늙는다"
2024.05.10
DNA
메틸화가 일어난 부위와 메틸화 정도를 이용해 생물학적 나이를 추정할 수 있다.
DNA
메틸화 상태를 통해 생물학적 노화의 속도와 진행 과정을 추정하는 '후성유전학적 시계' 메커니즘은 인간의 생물학적 노화를 측정하는 최첨단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후성유전학적 시계는 총 ... ...
"베토벤의 청각 장애 원인은 납 중독"
2024.05.07
산호세주립대 아이라 브릴리언트 베토벤연구센터 창립 이사는 경매, 박물관 등을 통해
DNA
분석으로 베토벤의 것으로 확인된 머리카락 총 5묶음을 찾아냈다. 베토벤 머리카락 5묶음 중 3묶음은 케빈 브라운 미국 베토벤협회 명예회원이 가지고 있었다. 브라운은 '자신이 사망한 이후에도 생전 청각 ... ...
말라리아가 수명도 좌우…노화 연관 백혈구 텔로미어 길이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5
감염이 LTL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중 하나라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혈구
DNA
추출을 통해 탄자니아, 보츠와나, 에티오피아, 카메룬에 거주하는 성인 1818명을 대상으로 LTL을 측정했다. 또 말라리아 풍토병 유무와 LTL 사이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각 지역마다 LTL에 상당한 ... ...
챗GPT 닮은 생성형AI로 '유전자 가위' 만든다
2024.05.04
설계에
DNA
서열을 합성했다. 그 결과 오픈크리스퍼-1은 크리스퍼 캐스9의 효소만큼 표적
DNA
서열을 정확히 잘라냈으며 잘못된 위치에서 절단할 확률을 낮추는 효율성을 보였다. 프로플루언트바이오는 오픈크리스퍼-1를 무료로 공개했다. 특허받은 일부 유전자 교정 도구와 달리 연구자들은 제한 ... ...
종이처럼
DNA
접어 치료효과 높인 암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4.05.03
접목해 CpG를 최적의 위치에 배열했다. 연구팀은 먼저
DNA
오리가미 기술로 CpG 분자들을
DNA
나노구조체 표면에 2.5~7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간격으로 배치했다. 세포실험을 통해 3.5나노미터일 때 암 면역 치료 효과가 가장 높다는 점도 확인했다. 피부암이 형성된 초기 단계 쥐들에게 3.5나노미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호기심 넘쳐 머리 끝부터 발끝까지 다양해진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4.28
DNA
서열을 분석했다. 그중 신경 세포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 근처에 있는 한 가지
DNA
염기가 눈에 띄었다. 이 유전자는 시클리드의 뇌에서 두려움을 감지하고 유발하는 부위인 '하베눌라'에서 활성화 됐다.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이 유전자를 돌연변이로 만들자 시클리드의 호기심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폐·뇌전증, 인공장기로 치료법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7
증후군이 치료된다는 점이 확인됐다.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는 짧은 RNA 또는
DNA
조각과 상호작용해 특정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거나 조절하는 약물이다. 티모시 증후군이 있으면 신경세포의 칼슘 이온 채널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인 ‘CACNA1C’에 문제가 생긴다. 안티센스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