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보관
저장
보전
보유
보호
방부
스페셜
"
보존
"(으)로 총 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게놈이 복제될 때도 메틸화 패턴은 유지된다. 즉 유전정보뿐 아니라 발현정보도
보존
되는 셈이다. 후자를 ‘후성유전학’이라고 부르는데, 2000년대 들어 생명과학에서 가장 뜨거운 분야다. 즉 수정란이라는 단 하나의 세포에서 세포 수십 조개로 이뤄진 개체로 발생하는 과정에서 조직별로 유전자 ... ...
방사선 식품? 방사능 식품?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04
앞서도 설명했듯 방사선 조사 처리 식품은 방사선의 이온화 에너지를 이용하여 식품의
보존
성을 향상시킨 것이지만 방사능 오염 식품은 방사성 물질이 포함된 오염식품으로 방사선 조사 식품과 완전히 다르다. 방사선 처리하는 식품들은? 방사선 처리를 하는 식품 대부분은 식물성이다. 주 목적 ... ...
나의 몸과 움직임이 비밀번호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6.02
손가락을 자르는 흉악범죄도 실제로 등장했다. 인식기기에 등록된 정보가 안전하게
보존
된다고 볼 수도 없다.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는 해킹에 의해 1억 건 이상의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주민등록번호 대신에 생체인식을 도입한다고 해도 마찬가지의 일이 일어날 수 있다. 생체정보가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이 대칭은 켤레대칭(C 대칭)이라고 불린다. 당시의 화두는 두 대칭이 어떤 힘에서는
보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었다. 약한 상호작용에서는 C와 P 대칭(CP 대칭)이 깨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강한 상호작용에서는 관측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깨진 정도가 아주 약해서 거의 깨지지 ... ...
빛 파장이 일주리듬 조율한다
2015.04.27
주위 사물의 형태를 뇌가 재구성할 수 있게 실제와 기하학적 상관관계, 즉 위상 정보를
보존
한 빛(광자)을 감각해 전달하는 기관이다. 즉 여기에서 빛은 물체의 형태를 알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인 셈이다. 이런 수단이 꼭 빛일 필요는 없다. 박쥐나 기름쏙독새는 소리(음파) 정보를 재구성해 주위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대체해 구리와 암모늄염 구조인 ACQ라는 화합물이 도입됐다. ACQ는 흰개미 퇴치 등 목재
보존
력은 비슷하면서도 토양오염 등 문제는 훨씬 적은 것으로 밝혀져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고 한다. 그럼에도 ACQ를 처리한 목재에서 유출되는 구리가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은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않은 ... ...
[법성포에서 원자력을 만나다1] 영광 강태공들의 명소, 원자력 온배수낚시터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0
같은 행사에서 소비되기도 한다. 온배수의 안전성을 알리는 동시에 인근 해역의 어종을
보존
하는 목적의 사업인 셈이다. 그렇다고는 해도 온배수가 환경에 영향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온배수는 인근 해수 온도보다 7도 가량 높아 주변 해역의 평균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치어들이 ... ...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
KOITA
l
2015.03.06
만큼, 와인을 오래 보관하는 것은 옛날에도 중요했다. 그리스의 와인업자들은
보존
성을 높이기 위해 말린 송진이나 대리석의 가루를 와인에 섞곤 했다. 소금이나 납을 첨가할 때도 있었다. 이게 싫은 사람들은 제대로 밀폐되지 않아 쉬이 산패되는 용기에 와인을 담아 내버려뒀다. 당연히 이런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부른다. 양자색소역학 이론으로는 CP 대칭성이 깨질 것으로 예측되나 실제로는
보존
된다는 사실이 실험으로 증명된 바 있으며, 이를 설명하는 가상의 입자가 바로 액시온이다. 최초로 제안된 액시온은 실험을 통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 증명되어 잊혀지나 싶었지만, 경희대 석좌교수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초식동물의 개체수를 조절해야 식물의 씨가 마르지 않는다는 것. 2001년 학술지 ‘생물
보존
’에 실린 미국 오리건주립대 윌리엄 리플 교수팀의 옐로스톤 늑대복원 사례연구가 이 입장을 지지하는 유명한 논문이다. 600년 전만 해도 북미대륙에는 회색늑대가 무려 200만 마리가 살았던 것으로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